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기고문】 한반도평화 새바람과 유엔군 참전의 날에 대한 소고
2019-07-24 10:26:08최종 업데이트 : 2019-07-24 10:19:36 작성자 : 편집주간   강성기

경기남부보훈지청 복지과 박진희

경기남부보훈지청 복지과 박진희

지난 달 30일, 대한민국뿐 아니라 세계의 많은 이들에게도 역사적인 날로 뜨거웠던 특별한 하루였다. 문재인대통령, 트럼프 미국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30일 정전협정 66년 만에 처음으로 판문점에서 만났고 세계는 이를 '역사적 만남'으로 평가했다. 한반도의 새로운 평화가 다가오는 시대의 흐름 속에 우리가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 놀랍고 감격스럽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지금으로부터 69년 전은 이와 같은 광경을 예상할 수 없었을 것이다.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예고 없는 남침으로 인해 한반도는 전 세계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전쟁이 발발되자, 당시 우리나라에 주재하고 있던 국제연합감시단에 의해 유엔에 보고되었고, 미국은 바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이 안건을 제소하였다.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행위를 침략행위라 선언하고 북한군에게 침략행위 중지 및 38도선 이북으로의 철수를 명했다. 하지만 북한군은 그 결정에 따르지 않았고, 전쟁은 계속됐다.

 

그러자 이틀 뒤인 6월 27일, 안전보장이사회는 유엔 회원국들에게 한국에 대한 원조를 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유엔 회원국의 북한군 격퇴 참여'를 결정하고 미국을 주축으로 하여 유엔 사령부를 결성했다. 이후 1950년 7월 5일, 바다와 하늘을 건너 스미스 특수부대가 최초로 오산전투에 투입되었고, 그 이후로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 있기까지 22개국 약 195만 명의 군인과 의사들이 6‧25전쟁에 참여했다. 그리고 그 중 15만 명은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거나 크게 부상을 입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수많은 유엔(UN)참전국과 참전용사의 희생을 후대에 계승하기 위하여 6·25전쟁 정전협정일인 7월27일을 '유엔(UN)군 참전의 날'로 정하여 기리고 있다. 유엔군 참전의 날은 6․25 당시 대한민국 수호, 지금의 한반도 평화안정, 앞으로의 한반도 항구적인 평화번영을 다짐하는 대한민국의 과거-현재-미래와 직결되는 기념일이며 유엔 참전국과의 유대강화에 기여하는 의미 있는 기념일이라 할 수 있다.

 

6‧25전쟁이 발발한 지 이제 69년이 지났다. 긴 세월이 지나는 동안 전쟁을 경험하지 못한 세대가 자리 잡으면서, 국군 참전 용사와 참전 유엔군에 대한 감사의 마음이 점차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사라지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세계 정상들이 과거의 아픔을 치유하고 화해하며, 평화의 길로 한발 짝 나가는 것을 보며, 조금은 낯선 숫자인 7·27 유엔군 참전 기념일이 나뿐만이 아닌 모든 사람들에게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모든 분들에 대한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깊이 새기는 날이 되길 바란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독자의견전체 0

SNS 로그인 후,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icon 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