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역사를 올바르게 조명하고 싶었어요”
사진작가 이미경, 그녀가 전시기획자로 변신하기까지 사연은?
2019-11-15 11:26:16최종 업데이트 : 2019-11-15 11:26:22 작성자 : 시민기자   하주성
영동시장 2층 청년몰에서 만난 사진작가 겸 기획자 이미경씨

영동시장 2층 청년몰에서 만난 사진작가 겸 기획자 이미경 씨

독립운동가이자 사학자, 언론인이었던 단재 신채호 선생은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라고 했다. 또 선생은 "우리나라에 부처가 들어오면, 한국의 부처가 되지 못하고 부처의 한국이 된다. 우리나라에 공자가 들어오면, 한국을 위한 공자가 되지 못하고 공자를 위한 한국이 된다. 우리나라에 기독교가 들어오면, 한국을 위한 예수가 아니고 예수를 위한 한국이 되니 이것이 어쩐 일이냐. 이것도 정신이라면 정신인데 이것은 노예정신이다. 자신의 나라를 사랑하려거든 역사를 읽을 것이며, 다른 사람에게 나라를 사랑하게 하려거든 역사를 읽게 할 것이다"라고 했다.
 
선생은 <독사신론>에서 『내가 지금의 각 학교에서 교과서를 쓰는 역사를 보건대, 가치 있는 역사가 거의 없도다』라며 역사를 바로 세워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역사의 중요성을 강조한 신채호 선생의 명언처럼 아픔의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한 의미있는 전시가 열린다. 광복회 경기도지부(지부장 황의형)이 마련한 '3·1운동 및 임시정부수립 조선의열단 백년을 말하다 - 그날의 기억 1919'는 26일부터 12월 1일까지 경기도문화의 전당 빛나는 갤러리에서 열린다.

그런 '그날의 기억 1919'의 공동기획자인 이미경씨를 13일 오후, 영동시장 2층 청년몰 한편 카페에서 만났다. 지난해 11월 5일 행궁동에 소재한 대안공간 눈에서 이미경 개인전 '상처가 아물지 않았다' 전을 열고 난후 1년 만의 만남이다. 당시 이미경 씨의 전시는  지인의 갑작스런 죽음이 몰고 온 공포를 그대로 사진으로 옮겨 놓았던 상징적 전시였다.
'그날의 기억 1919'에 출품한 한영숙 작가의 안중근(사진 이미경 제공)

'그날의 기억 1919'에 출품한 한영숙 작가의 안중근. 사진/이미경 제공

1년 만에 기획자가 되어 나타난 이미경 씨
그 전에도 이미경 작가의 전시를 찾아보고 기사화 한 적이 있어 낯이 익은 사람이다. 그런데 뜬금없이 기획자가 되어 나타났다. 그것도 3·1운동, 임시정부수립 100년이라는 의미있는 해(1919년)에 '그날의 기억 1919'라는 전시제목을 갖고 전시를 한다는 것이다. 올해는 3·1운동과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이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수많은 관련행사가 열렸다.

그런 행사가 한 해의 막바지에 들기 시작한 11월 말에 또 다시 '3·1운동 및 임시정부수립 조선의열단 백년을 말하다'라는 제목으로 전시를 갖는다는 것이다. 그것도 사진작가가 아닌 전시기획자로 나타났다. 도대체 그녀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그리고 왜 1919년을 기억하고 싶은 것일까?

"안양에서 사진전을 여는데 독립운동가의 후손들과, 지금은 생존해 계시지 않는 독립운동가를 모티브로 사진전을 열었어요. 그들의 마음을 담아내는 사진작업을 하다가 우리가 그날(1919년 3월 1일)의 역사나 독립운동가 들에게 너무 홀대를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갖고 있는차에 광복회 경기도지부에서 '조선의열단 백년을 말하다'라는 제목으로 전시계획을 갖고 있는데 기획을 맡아달라고 했어요."

그런 전시라면 힘들어도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전시기획을 맡았다고 한다. 그동안 3·1운동 관련자료를 찾기 위해 화성 제암리, 천안 유관순 열사 생가지 등을 찾아다니면서 많은 것을 보고 들었다고 한다. 기획을 한 것이 얼마 되지 않아 힘들지만, 나름 최선을 다해 1919년의 역사를 조명하고 싶다고 말한다.'그날의 기억 1919'에 출품한 김희곤 작가의 '축제의 함성'(사진 이미경 제공)

'그날의 기억 1919'에 출품한 김희곤 작가 '축제의 함성'. 사진/이미경 씨 제공


우리 역사를 기록으로 남기는 작업 하고 싶어
이미경 씨가 기획을 하게 된 것은 8‧15 광복절을 맞이해 아이들이 그린 태극기를 지하도에 전시회를 열고, 그곳에 커다란 태극기를 걸어놓은 후 지나는 사람들이 느낀 바를 글로 적는 전시를 연 것이 기획의 시작이라고 한다. 전시는 생각 밖으로 많은 사람들이 동참했고, 그 전시를 통해 기획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다는 것이다.

"저는 중앙대학교 평생교육원 사진학과를 졸업한 후, 국립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시각디자인학과에 재학하고 있어요. 이번에 석사논문이 나왔는데 논문제목이 <내면심리의 사진적형상화를 통한 불안극복 - '상처가 아물지 않았다'를 중심으로> 였죠. 개인적인 불안의 문제를 예술활동으로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신분석학의 이론과 선행작가를 기반으로 살펴본 작품 논문이에요."

이미경 씨가 건네주는 석사학위 논문집을 받아들고 "사진작가가 기획을 할 수 있다면 우리가 모르고 있던 내면의 세계까지 사진으로 담아낼 수 있기 때문에 기대가 된다"고 그동안의 용기를 격려해주었다. 이미경 씨는 "기획을 하다보니 그동안 사진작가로서 모르고 있었던 더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더 많은 공부를 해야 한다는 것도 깨달았다"면서 "이번 '그날의 기억 1919'는 9명의 작가가 동참했으며(깅동우, 김희곤, 류엘리, 염동균, 이혜정, 조정호, 최순옥, 한영숙, 한희준) 작가들 모두 경기도에서 활동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번 전시의 기획은 이미경 씨와 장기택 씨가 공동으로 맡았다.지난해 11월 대안공간 눈 전시회에서 만났던 이미경 작가

지난해 11월 대안공간 눈 전시회에서 만났던 이미경 작가

"기획자는 단순히 나에게 주어진 모티브만을 갖고 전시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그 모티브가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도 고민해야 참다운 기획자가 될 수 있다"는 말로 전시를 하는 이미경 씨의 사기를 북돋아 주었다.

"앞으로는 우리 문화재에 대해 더 많은 것을 공부하고 그 문화재에 얽힌 이야기와 국가, 그리고 민초들의 이야기까지 찾아보겠다"고 하는 이미경씨. 그녀가 기획한 '그날의 기억 1919'전이 기대되는 것은 사진작가로 활동하던 기획자가 얼마나 다른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가 궁금했기 때문이다. 참여작가들이 생각하는 조선의열단 백년은 어떤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지 이 또한 상상하기 어렵다.

사진작가, 이미경, 전시기획자, 3‧1운동 100주년, 상해임시정부 100주년, 경기도문화예술회관

연관 뉴스


추천 1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독자의견전체 0

SNS 로그인 후,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icon 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