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안’ 과 ‘않다’의 구별
2008-10-27 10:41:07최종 업데이트 : 2008-10-27 10:41:07 작성자 : 시민기자   윤재열

'안'과 '않다'는 모두 부정문에 쓰이는 표현이다. 
그러나 이것은 부사와 보조용언으로 문법적 성질이 다르고, 뜻도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먼저 '안'은 부사 '아니'의 준말이다. 이는 용언 앞에 쓰여 부정이나 반대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다. 
용례는 '아니 먹다/아니 슬프다/안방의 영감은, 아랫방에서 이야기 소리도 아니 들리는 것이 궁금해서 고개를 기웃이 빼고 내다보았다.≪염상섭, 취우≫' 등이다. 
속담에서도 '아니 때린 장구 북소리 날까/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아니 밴 아이를 자꾸 낳으란다.' 등으로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이렇게 표현되는 경우보다 준말 '안'으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다.(안 벌고 안 쓰다/안 춥다./비가 안 온다./이제 다시는 그 사람을 안 만나겠다./안 먹고는 살 수가 없다./행아는 마치 석고상 모양으로 앉아서 꼼짝을 안 했다.≪선우휘, 깃발 없는 기수≫) 

'않다'는 세 가지로 쓰인다. 
'어떤 행동을 안 하다.'라는 동사로 쓴다.(그는 말을 않고 떠났다./꼬마는 세수를 않고 밥을 먹으려고 해 엄마에게 혼이 났다.) 다음으로 동사 뒤에서 '-지 않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로 쓴다.(가지 않다./책을 보지 않다./그 이유를 묻지 않고 돈을 빌려 주었다./아이가 밥을 먹지 않아서 걱정이다.) 또 형용사 뒤에서 '-지 않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상태를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로 쓴다.(예쁘지 않다./옳지 않다./일이 생각만큼 쉽지 않다./건강이 좋지 않아서 여행 가는 것을 포기했다.) 

'안' 과 '않다'의 구별_1
'안' 과 '않다'의 구별_1

'안'을 서술어 앞에 첨가하는 부정문을 짧은 부정문이라고 한다. 
'안 되는 놈의 일은 자빠져도 코가 깨진다./나는 밥을 안 먹었다./이 방법은 안 좋다.'처럼 사용한다. '안'은 '아니'의 준말이라고 한 것처럼 앞의 문장 용례들은 모두 '아니 되는 놈의 일은 ~/밥을 아니 먹었다./이 방법은 아니 좋다.'고 말하는 것이 된다. 

반면 '않다'는 흔히 '-지 않다'처럼 쓰여 긴 부정문을 만든다. 
이는 '아니하-'의 준말로 '나는 밥을 먹지 않았다./이 방법은 좋지 않다.'처럼 말한다. 같은 방법으로 이것도 의미를 다시 새겨 보면 '나는 밥을 먹지 아니하였다./이 방법은 좋지 아니하다.'라고 말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차이점을 더 정확히 알기 위해서 '나는 밥을 않 먹었다.'와 '이 방법은 좋지 안다.'라는 표기법을 써 보자. 그리고 각각의 부정어를 앞에서 제시한 대로 '나는 밥을 아니하 먹었다./이 방법은 좋지 아니다.'라고 줄기 전의 원말로 바꾸어 보자. 
즉 이렇게 바꾼 표현은 국어에 없는 표현임을 금방 알 수 있다.  

참고로, 서술어(동사, 형용사)가 합성어, 파생어이면 대체로 긴 부정문이 자연스럽다. 
즉 '아무도 그를 안 얕보았습니다.'는 문장은 '아무도 그를 얕보지 않습니다.'라고 써야 자연스러운 것이다. 

부정문은 오직 '안(아니), 못'의 출현 유무(형식의 기준)에 의해서만 판별된다. 따라서 '없다, 모르다' 등 부정적 의미를 가진 어휘가 쓰여도 긍정문이며, 이중 부정문(철수가 안 가지 않는다)도 의미상 긍정문이지만, '안'이 쓰였으므로 부정문이다. 또, 단어 속에서 불(不), 비(非), 무(無) 등의 부정적 접두사가 쓰였다 해도 모두 긍정문이다. 

'안'이 '아니'의 준말로 쓸 때는 부사로 '안 벌고 안 쓰다/안 춥다.'처럼 뒤의 용언과 띄어 쓴다. 그런데 이와 달리 국어사전에 '안되다'라는 동사를 두고 있다. 
1. 일, 현상, 물건 따위가 좋게 이루어지지 않다.(경기가 안 좋아서 장사가 잘 안된다./공부가 안돼서 잠깐 쉬고 있다.) 
2. 사람이 훌륭하게 되지 못하다.(자식이 안되기를 바라는 부모는 없다.) 
3. 일정한 수준이나 정도에 이르지 못하다.(이번 시험에서 우리 중 안되어도 세 명은 합격할 것 같다.) 
이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단일어로 처리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단어로 붙여 쓰는 용례까지 두고 있다. 하지만 이는 어색한 단어이다. 이렇게 쓰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이 경우는 오히려 사전이 혼란을 부추기고 있는 꼴이다. 

반면, '안되다'를 형용사로 쓸 때는 조금 다르다. 
1. 섭섭하거나 가엾어 마음이 언짢다.(그것참 안됐군./젊은 나이에 남편을 잃고 고생하는 것을 보니 마음이 안됐다./혼자 보내기가 안돼서 역까지 배웅했다.) 
2. 근심이나 병 따위로 얼굴이 많이 상하다.(몸살을 앓더니 얼굴이 많이 안됐구나./안색이 안돼 보여서 약을 지어 보냈다.) 
이는 동사와 달리 의미가 자연스럽다. 해서 붙여 써도 된다. 이 경우는 부정문이라고 볼 수 없다.    

윤재열님의 네임카드

윤재열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