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국민학교 명패' 역사를 재활용합니다
2008-07-20 23:24:05최종 업데이트 : 2008-07-20 23:24:05 작성자 : 시민기자   이영관

흔히들 직업은 속이지 못한다고 한다. 
며칠 전 수원 인근인 화성의 어천 저수지를 둘러 보았다. 그냥 바람을 쐬러 간 것이다. 낚시꾼들의 여유가, 여가생활이 부럽기만 하다.

귀로에 한 초등학교를 들렀다.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치지 못한다고 하던가? 학교를 한 바퀴 돌아보았다. 잘 정돈되어 있었다. 
시골 학교라 그런지 일요일인데도 어린이를 비롯해 지역 주민들이 운동장을 이용하고 있었다.

'국민학교 명패' 역사를 재활용합니다_1
매송초등학교에 전시된 '국민학교 명패'. '역사'를 버리지 않고 교육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학교 건물 앞에 있는 '매송 민속마을'이 눈에 띈다. 
잊혀져 가는 우리 조상의 민속품을 전시하고 있었다. 한 곳에는 이 학교에서 사용했던 '국민학교' 명패가 보인다.

아마도 다른 학교의 경우, 이 명패는 창고에 있거나 쓰레기로 버렸거나 목재는 불태워 없애지 않았을까? 역사의 재활용이 반갑다. 
역사를 아는 국민은 쓰라린 역사를 반복하지 않는다.

그렇다. 과거를 잊기만해서야 하겠는가? 과거를 알고 현재를 알고 미래로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요즘 일본이 독도가 자기네 나라 땅이라고 우겨 우리 국민을 분노하게 하고 있다. 그들은 우리가 잊을 만하면 철저하게 준비해 세계 여론을 유리하게 이끌려고 한다. 

우리도 장기적인 안목으로 이에 대비해야 한다. 
일시적인 감정에 사로잡히지 않고 실효적 지배를 강화하면서 세계 여론이 우리 편이 되도록 해야 한다. 역사적 증거도 들이대야 한다. 일본의 주장이 거짓이라는 것을 만천하에 공개해 그들이 꼼짝 못하게 해야 한다. 

이것을 국가와 민간단체가 주도해야 하고 교육이 앞장서야 한다. 
이를 연구하는 전문학자도 늘어나야 한다. 학문 연구도 하나의 국력이다. GDP 순위 세계 13위에 걸맞게 학문 연구도 수위를 달려야 하는 것이다.

매송 민속마을에 전시된 '국민학교' 간판을 보면서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언제, 왜 '국민학교'란 명칭을 '초등학교'로 바꾸었는지 이에 대한 설명이 있었으면 한다. 

정보 검색을 하니 이렇게 나온다. 
교육부는 광복 50주년을 며칠 앞둔 1995년 8월 11일 "일제의 잔재를 깨끗이 청산하고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기 위해 국민학교의 명칭을 변경한다"고 발표하고 1995년 12월 29일 교육법을 개정하여 1996년 3월 1일부로 국민학교를 초등학교로 명칭 변경했다고.
'국민학교 명패' 역사를 재활용합니다_2
매송초등학교 민속마을 전경


이영관님의 네임카드

이영관, 국민학교와 초등학교, 역사의 재활용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