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남을 유혹할 때, ‘꼬시다’가 아니라, ‘꼬이다’라고 해야
2008-06-13 07:17:36최종 업데이트 : 2008-06-13 07:17:36 작성자 : 시민기자   윤재열

 '미현이를 꼬시다'
'담배로 여자를 꼬신다.' 
'술로 꼬실 수 있는 여자' 
이것만이 아니다. 신문에 연재되고 있는 영어 회화 학습 안내문에서도 '여자를 꼬시다.'라는 표현은 'hunting을 써서 한다.'고 소개하고 있다. 중국어 회화 소개에서도 중국어 표현을 우리말로 번역할 때, '여자를 꼬시다.'라는 말을 쓴다. 

그러나 '꼬시다'는 '고소하다'의 방언이다. 남을 유혹하다는 의미는 '꼬이다'라고 해야 바른 표현이다.(그는 학교를 빼먹고 놀러 가자고 친구를 꼬였다./친구가 날 꼬여서 내가 이 꼴이 됐구나 알았을 때에는, 그렇게도 친구가 밉더니….≪황석영, 어둠의 자식들≫/이튿날부터 애심이는 다시 옛 골목에 나가 서서 놈팡이를 꼬이기 시작했다.)

'삐지다'와 '삐치다'도 헷갈리고 있다. '삐지다'는 '칼 따위로 물건을 얇고 비스듬하게 잘라 내다.(김칫국에 무를 삐져 넣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반면 '삐치다'는 '성이 나서 마음이 토라지다.(그렇게 조그만 일에 삐치다니 큰일을 못할 사람일세./잘 놀다가도 석형 얘기만 나오면 저렇게 삐치고 다투니 언제 철이 들는지…….≪이영치, 흐린 날 황야에서≫)'라는 뜻이다.

남을 유혹할 때, '꼬시다'가 아니라, '꼬이다'라고 해야_1
남을 유혹할 때, '꼬시다'가 아니라, '꼬이다'라고 해야_1

'삐치다'를 써야 할 자리에 '삐지다'라고 쓰는 경우는 제법 많다. 일상 화법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등에서도 빈번하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우리말을 유창하게 하는 외국인도 토라진 상황을 표현할 때 '삐짐'이라고 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텔레비전의 자막 처리다. 최근 텔레비전에서는 출연자가 '삐지다'라고 말해도 자막은 '삐치다'라고 바르게 하고 있다.

'예쁘다'라고 해야 할 상황에서 '이쁘다'를 사용하는 것도 바른 어법이 아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이쁘다'를 열면, '예쁘다'의 잘못이라고 나온다.

우리말 '예쁘다'는 쓰임이 다양하다. '모양이 작거나 섬세하여 눈으로 보기에 좋다.(예쁜 꽃/얼굴이 예쁘다./그녀는 인형처럼 예뻤다.), 행동이나 동작이 보기에 사랑스럽거나 귀엽다.(하는 짓이 예쁘다./걸음걸이가 참 예쁘구나./깔끔하게 밥 먹는 모습이 참 예뻐 보인다.≪박경리, 토지≫, 아이가 말을 잘 듣거나 행동이 발라서 흐뭇하다.(말을 잘 들어서 참 예쁘구나./이리 가져오면 예쁘지.)' 등.  

속담에도 '예쁘지 않은 며느리가 삿갓 쓰고 으스름달밤에 나선다.(여러모로 부족한 점이 많은 사람이 자신의 격에 맞지 아니한 어설픈 짓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예쁜 자식 매로 키운다.(사랑하는 자식일수록 매를 대어 엄하게 키워야 한다는 말.)'처럼 쓰인다.

일상 언어생활에서 '예쁘다'라고 많이 하지만, 때에 따라서 '예쁘장하다'라고 해야 더 정감이 가는 경우도 있다. 이때도 '예쁘장하다'(제법 예쁘다. 예쁘장한 아기/예쁘장한 얼굴/예쁘장하게 생기다./활짝 피지는 못하였으나 조촐하고 예쁘장한 색시였다.≪염상섭, 삼대≫)라는 형용사를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도 우리는 일상 언어생활에서 '이쁘다와 이쁘장하다'를 많이 사용한다. 잘못된 언어 습관이 고쳐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분명히 해야 할 것은 이 표현을 문서로 할 때는 반드시 표준어 '예쁘다와 예쁘장하다'를 써야 한다.    
'이쁘다'는 비표준어이니 '예쁘다'라고 말해야 한다고 지적해주면 바로 얼굴 표정이 달라진다. 이들은 제법 그럴듯한 말로 표준어 사용에 대해서 거부감을 표시한다. 표준어의 규정이 '표준말은 교양 있는 사람들이 널리 쓰는 현대 서울말'을 근거로 하는데, 서울말도 엄연한 사투리의 일종이라고 지적한다. 결국 표준어 사용도 서울의 사투리를 전 국민에게 강요하고 있는 꼴이라 모순이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서울의 일천만 명을 위해서 나머지 삼천만 명이 넘는 대부분의 국민이 희생하라는 말로 밖에는 들리지 않는다고 항변한다.

여기서 '서울'은 단순한 지역적 조건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수도인 이곳은 문화, 경제, 정치, 교통의 중심지이고 그만큼 영향력이 크고 보급이 쉬운 이점이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쓰이는 말이 전국 방언의 대표가 될 만하다고 인정한 것이다.

물론 한글을 더 풍부한 언어로 만드는 것은 지금의 표준어가 아니라 표준 이외의 방언이다. 그것들로 인해서 갈고 닦여진 어휘가 바로 지금의 표준어이고 앞으로도 이러한 언어로 인하여 표준어는 더 발전할 것임은 틀림이 없다. 

하지만 표준어의 사용은 우리가 합의한 약속을 지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표준어 사용은 서로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표준어법은 나라의 법처럼 형벌이 가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언중의 한 사람으로서 반드시 지켜야한다. 

특히 대중매체는 불특정 다수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또한 공익적인 성격이 짙다. 따라서 방송 등에서는 지역 방언이 아닌 표준어를 써야 한다. 사회적으로 지도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의 말하기도 마찬가지다. 방언을 씀으로 국민간의 위화감을 조성할 것이 아니라, 표준어 사용으로 국민 화합을 기하도록 해야 한다.

윤재열님의 네임카드

윤재열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