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제주올레 10년] ④ "내일도 모레도 100년 후에도 '올레'?"
서명숙 이사장 "자연 보전이 1순위…지난 10년의 부족함 채울 것"
2017-09-03 07:51:08최종 업데이트 : 2017-09-03 07:51:08 작성자 :   연합뉴스
제주올레걷기축제…천고마비의 올레길

제주올레걷기축제…천고마비의 올레길

[제주올레 10년] ④ "내일도 모레도 100년 후에도 '올레'?"
서명숙 이사장 "자연 보전이 1순위…지난 10년의 부족함 채울 것"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제주를 한 바퀴 잇는 올레길 425㎞를 유지·관리하는 데 들어가는 연간 비용은 어느 정도나 될까.



사단법인 제주올레에 따르면 사무국 정규 인력의 인건비를 제외한 전 코스 풀베기 작업, 안내 표지 교체, 홍보물 제작 등 운영에 들어가는 비용은 대략 5억원 안팎이다.
해마다 안내 표지를 모두 교체하는 것이 아녀서 1년 운영비가 들쑥날쑥하기는 하지만, 평균적으로 제주올레가 순수하게 부담하는 비용이다.
이외에 행정이 올레길을 위해 지원하는 비용도 있다.
제주올레 공항안내소와 올레길 지킴이, 올레길 편의시설 설치, 화장실 관리 민간위탁, 홍보, 올레길 축제 지원 등에 상당한 비용이 들어간다.
이성용 제주연구원 연구위원의 연구보고서 '제주올레 탐방객 현황과 운영 개선방안'에 따르면 제주도와 제주시, 서귀포시의 제주올레 관련 집행예산 총액은 2010년 6억1천여만원, 2013년 10억2천여만원, 2016년 15억원 정도다. 처음에는 서귀포시만 예산 지원을 하다가 올레길이 제주 전 지역에 만들어지면서 제주시와 제주도에서도 제주올레 지원사업을 해마다 펼치고 있다.
상당한 비용이 들어가는 사업이다.



올레길은 이제 단순히 걷는 길이 아닌 제주의 대표 관광자원으로서 일종의 공공재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 때문에 하나의 민간단체가 감당할 수준을 넘어섰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너무나 많은 코스를 단기간에 개발했을 뿐만 아니라 올레길과 관련해 행정과 제주올레 측 간 명확한 역할 분담이 없어서 안전문제나 관리운영 상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책임소재가 분명하지 않다.
실제로 지난 2012년 7월 올레길을 홀로 여행하던 40대 여성이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을 때 유족들은 제주도와 제주올레 측을 상대로 올레길 안전 관리 소홀 책임을 물어 민사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당시 1심과 항소심 재판부는 "도로의 안전성은 도로의 균열, 파괴 등과 같이 통상 갖춰야 할 안전성을 갖추지 못함을 의미하는데 올레 1코스에서 발생한 사건이 도로의 안전성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 제주도와 제주올레에 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봤다.
이를 뒤집어 보면 올레길에서 관리운영 상의 잘못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 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뜻이 되기도 한다.
현 시스템으로는 제주 올레길의 안전을 100% 장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조차 버거운 게 현실이다.
해마다 높아지는 올레길의 위상에 걸맞게 시스템을 정비하고 행정과 제주올레의 역할을 분명히 정할 필요가 있다.



다른 숙제들도 남아있다.
올레길 탐방객 수가 2013년 119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4년 117만명, 2015년 94만명, 2016년 68만명으로 감소하고 있어 인기가 식어가고 있다는 우려와 함께 제주올레와 주변 마을주민들과의 연계, 공감대 부족에 대한 지적도 여전하다.
올레꾼들은 올레길을 걸으며 기존 제주관광에서 느끼지 못했던 새로운 체험을 하고 있지만, 아직도 지역 주민과의 교류나 연계가 적고 일부 주민들은 올레길로 인한 소득창출 효과를 체감하지 못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올레길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추정만 할 뿐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탐방객 파악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를 측정하기도 힘들다.
현재의 탐방객 수는 제주올레 안내소와 각 코스 모니터링 요원(올레지킴이)이 걸으면서 마주치는 올레꾼 수를 바탕으로 집계하는 추정치에 불과하다.
제주연구원 신동일·최영근 박사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올레꾼들의 소비지출 규모를 추정해 분석한 자료들이 있지만, 이는 생산과 부가가치, 취업 유발효과 등으로 구분해 분석하는 일반적이고 합리적인 지역경제 파급효과라고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보다 정확한 방문객 수 추정 방식을 도입하고 지역경제 파급효과 산출을 위한 객관적인 기준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지적들에 대해 제주올레도 공감한다.



서명숙 제주올레 이사장은 "그동안 나름대로 행정과 협업을 해왔지만, 아직도 체계적인 역할 분담이 이뤄지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이달 중순께 제주올레와 행정이 함께 모여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진행, 구체적인 작업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제주어로 표현하자면 '꼬닥꼬닥'이라는 말이 있다. 그냥 서두르지 않고 차근차근 걸어가는 것이다. 성장 속도나 관광객 숫자 등 이런 부분에 연연하지 않고 제주의 자연 속에 난 길을 어떻게 잘 지켜내고 보전하고 관리하느냐에 중점을 둘 것"이라며 "올레길에 연간 100만명 이상이 찾는다는 것 자체가 오히려 이상한 일이다. 70만명 정도가 적정 수준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애초 제주의 오름 군락을 볼 수 있는 중산간 코스를 포함해 30개 올레 코스를 만들려는 계획이었지만 이마저도 보류했다.
서 이사장은 "올레길을 중심으로 의도치 않은 개발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 개발의 광풍을 중산간까지 끌고 가서는 안되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제주올레는 지난 10년의 부족함을 채우기 위한 고민을 통해 모든 세대가 즐길 수 있도록 힐링과 치유, 명상의 길을 넘어 재미있는 올레길을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bj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독자의견전체 0

SNS 로그인 후,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icon 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