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경기도 15개 시 광역버스 내년부터 준공영제 시행
53개 노선 적용…"버스기사 근로여건 개선해 안전운행"
2017-08-22 11:39:47최종 업데이트 : 2017-08-22 11:39:47 작성자 :   연합뉴스
버스준공영제 도입 관련 토론회 [ 연합뉴스 자료사진 ]

버스준공영제 도입 관련 토론회 [ 연합뉴스 자료사진 ]

경기도 15개 시 광역버스 내년부터 준공영제 시행
53개 노선 적용…"버스기사 근로여건 개선해 안전운행"

(수원=연합뉴스) 최찬흥 기자 = 경기도 내 15개 시, 53개 노선의 광역버스(직행좌석형 시내버스)에 대해 내년 1월 1일부터 준공영제가 적용된다.
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의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협약 체결 동의안'을 22일 도의회에 제출했다.
해당 시·군은 광역버스 인·면허권을 가진 수원·용인·광명·김포·파주·안산·안양·시흥·포천·양주 등 10개 시와 노선이 경유하는 부천·의정부·군포·의왕·과천 등 5개 시다.
버스준공영제 적용 업체는 16개사로 버스 대수는 모두 644대다.



버스준공영제는 서울·인천 등 6개 광역시처럼 공공기관이 수입금을 관리하고 운행실적에 따라 원가를 보전해 주는 방식(수익금공동관리제)으로 운영된다.
경기도와 15개 시가 50%씩 재정을 분담하고 중장기적으로 경기도가 인·면허권을 각 시로부터 회수하게 된다.
버스준공영제는 버스의 가동률을 높여 입석률을 낮추고 운전기사의 근로여건을 개선해 안전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대신 지자체는 예산 지출이 늘어난다.
버스준공영제 시행에 따라 내년에 도와 15개 시가 부담해야 할 재정은 139억6천여만원씩 모두 279억3천여만원에 이를 것으로 추계됐다.
버스준공영제에 동참하지 않은 16개 시·군 상당수는 예산 문제를 이유로 든 것으로 알려졌다.
도내 전체적으로는 160개 노선에 2천45대의 광역버스가 운행 중이다.



도는 도의회 동의를 거쳐 다음 달 중에 15개 시, 경기버스조합과 광역버스 준공영제 협약을 맺을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준공영제 시행과 함께 해당 버스 기사들이 격일제에서 1일 2교대로 근무하는 등 근로여건이 개선된다"며 "업체로부터 서비스개선계획서도 제출받아 안전운행과 함께 서비스 질도 높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c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독자의견전체 0

SNS 로그인 후,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icon 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