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시민단체가 본 경기연정' 토론회…내실화 모색
2017-08-17 16:47:09최종 업데이트 : 2017-08-17 16:47:09 작성자 :   연합뉴스
경기연정 토론회 [ 경기도 제공 ]

경기연정 토론회 [ 경기도 제공 ]

'시민단체가 본 경기연정' 토론회…내실화 모색

(수원=연합뉴스) 최찬흥 기자 = 경기도와 경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17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시민단체에서 바라본 경기연정'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도민의 삶과 민주주의를 위한 협치, 연정을 진단한다'는 부제의 토론회는 경기연정의 객관적이고 내실 있는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박상철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교수는 발제를 통해 "20개 조항 32개 세부사업을 담은 1기 연정과 달리 2기 연정은 79개 조항 288개 세부사업을 담아 진일보했다"며 "도와 도의회 간 기관대립형의 구조를 일거에 해결하는 등 정치적 효과도 매우 컸다"고 평가했다.
박 교수는 그러나 "이벤트성 정치적 행보보다는 연정 관련 주요 정책과 예산에 집중해 순수연정의 정치적 효과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며 "연정합의문에서 시민단체와 도민의 참여를 분명히 천명했지만 구체적 과정에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박완기 경기시민연구소 울림 소장은 발제에서 "연정이 민생정치, 도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귀결되고 있는가에 대한 도민들의 평가가 가장 중요하다"면서 "도민들이 체감하는 민생정책은 다소 부족한 것이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토론에 나선 최창의 경기교육희망네트워크 공동대표는 "내년도 지방자치 선거를 통해 경기연정 결과와 방식에 대한 평가와 함께 개헌 국면에서 지방자치 연정의 법적 근거를 마련해 중앙정치에 종속된 지방권력을 독립화, 분권화하는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정호 경실련경기도협의회 사무처장, 장동빈 경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이왕재 나라살림연구소 수석연구위원 등 토론자들은 지역사회문제 해결, 환경분야 연정의제 실행, 예산연정의 시민 참여 등을 주문했다.
c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독자의견전체 0

SNS 로그인 후,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icon 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