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경기도 200억 투입해 '선진방역형 동물복지농장' 도입
10만마리 이상 AI 피해 산란계농장 10곳 시범운영
2017-05-03 08:04:18최종 업데이트 : 2017-05-03 08:04:18 작성자 :   연합뉴스
경기도 200억 투입해 '선진방역형 동물복지농장' 도입_1

경기도 200억 투입해 '선진방역형 동물복지농장' 도입
10만마리 이상 AI 피해 산란계농장 10곳 시범운영

(수원=연합뉴스) 최찬흥 기자 = 경기도가 AI(조류인플루엔자)를 막기 위해 2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선진방역형 동물복지농장'을 도입한다.
도는 AI 피해를 본 10만 마리 이상 대규모 산란계농장 10곳을 선정해 선진방역형 동물복지농장을 시범 운영하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



도는 이를 위해 60억원의 사업비를 추경예산안에 반영했으며 시·군비 60억원, 농가 자부담 80억원 등 모두 200억원을 10개 농장에 20억원씩 투입할 계획이다.
선진방역형 동물복지농장은 동물복지시설로 건강사육 생태를 조성하면서 AI 등 질병 유입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갖춘 농장이다.
동물복지를 위해 1마리당 0.050㎡인 사육면적을 0.075㎡ 이상으로 늘리고 온도·습도·악취·출입자·환기 종합관리시스템, 환경모니터링시스템, 축분발효건조기 등을 구축하게 된다.
또 밀폐형 출입차량세척·소독시설, 축사외부 이동형 소독방제시설, 폐사가축처리기, 적외선CCTV, 설치류·조류차단시설 등을 설치해 방역시스템을 개선한다.
도 관계자는 "지난달 14일자로 도내 이동제한이 모두 해제됨에 따라 재입식 전에 선진방역형 동물복지농장을 선정해 운영할 계획"이라며 "현재 신청을 받고 있는데 시·군과 농가 모두 호응이 좋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양계농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규모화를 중시했는데 이에 따라 매년 대규모 농가에서 AI가 발생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며 "대규모 농가를 대상으로 한 선진방역형 동물복지농장이 농가와 양계산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AI 발생으로 경기지역 산란계농장 116곳에서 1천222만마리를 살처분했으며 이 가운데 10만마리 이상을 사육하는 대규모 농장 39곳이 80%인 982만마리(80%)를 차지했다.
c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