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보이스피싱, 기관사칭↓ 대출빙자↑…"40대 남성 피해 최다"
"서민 경제사정 악용한 대출빙자 보이스피싱 주의"
2016-10-24 10:03:01최종 업데이트 : 2016-10-24 10:03:01 작성자 :   연합뉴스
보이스피싱, 기관사칭↓ 대출빙자↑…

보이스피싱, 기관사칭↓ 대출빙자↑…"40대 남성 피해 최다"
"서민 경제사정 악용한 대출빙자 보이스피싱 주의"

(수원=연합뉴스) 최해민 기자 = # A씨는 얼마 전 자신을 모 은행 직원이라고 소개한 누군가로부터 전화 한 통을 받았다.
신용조회 후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해 주겠다면서 상환능력 평가 차원에서 돈을 입금하라던 은행 직원은 A씨에게서 2천500만원을 입금받아 잠적했다.


# B씨는 기존 대출을 정부지원 대출로 바꿔주겠다던 사기범으로부터 피해를 당했다.
캐피탈 직원이라던 누군가가 전화를 걸어와 기존 대출금을 변제하면 정부지원 대출로 바꿔주겠다고 했지만 이 모든 것이 사기였다.
B씨는 변제목적 150만원, 대출작업 비용 220만원, 신용 회복비용 40만원 등 각종 명목으로 760만원을 송금했다가 사기 피해를 봤다.
서민들의 경제사정을 악용한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가 끊이지 않고 있다.
24일 경기남부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 말 현재 전화금융사기는 모두 1천768건으로, 작년 동기간 2천649건보다 33%(881건) 줄었다.
전통적인 보이스피싱 사기인 공공기관 사칭 사기는 지난해 1천18건에서 올해 280건으로 72.5%(738건) 줄었으나, 대출 빙자형은 지난해 1천631건에서 올해 1천488건으로 8.8%(143건) 감소하는 데 그쳤다.
불특정 다수를 향한 기관사칭형은 경찰이 금융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강도 높은 단속과 예방활동으로 성공률이 떨어지자 사기범들이 주로 대출이 절박한 저신용 서민들을 범행 대상으로 전환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보이스피싱 사기를 당한 피해자들을 유형별로 보면, 주로 가정의 경제활동을 주도하는 40대 남성이 보이스피싱 범죄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이 58.8%로 여성(41.2%)보다 많았고, 연령대는 40대(30.4%), 50대(25.1%), 30대(24%), 20대(10.7%), 60대(6.7%), 70대 이상(3.1%) 등의 순이었다.
직업별로는 회사원(41.5%), 기타(18.2%), 자영업자(16.9%), 주부(11.3%), 무직(10.5%), 대학생(1.6%) 순이었다.
보이스피싱 사기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선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한 대출 광고를 접했을 때 금융회사가 실제 존재하는지, 정식 등록된 대출 모집인인지 확인해야 한다고 경찰은 설명한다.
금용회사 존재여부(www.fss.or.kr)와 대출모집인 등록여부(www.loanconsultant.or.kr)는 인터넷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대출 진행을 위해 어떠한 명목으로든 계좌이체 등 금전을 요구하거나, 신분증, 통장사본, 체크카드 등을 요구하는 경우는 절대 응해선 안 된다.


만일 피해금을 송금했다면 즉시 경찰청(112)이나 금융감독원(1332) 또는 해당 금융회사 콜센터로 지급정지를 신청해 출금을 막아야 한다.
경찰 관계자는 "출처가 불분명한 대출을 권유받았다면 전화금융사기일 가능성이 크므로 일단 보류하고 해당 금융기관의 홈페이지나 전화로 확인 후 대출을 진행해야 한다"며 "경찰은 사기 피해예방을 위해 금감원, 금융기관, 지자체 등과 협조해 적극적인 홍보와 지속적인 단속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goal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