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닻 올린 경기도 '2기 연정'…순항 과제는
연정부지사·연정위원장 역할 관심…남경필 대선 출마 핵심변수
2016-09-11 07:51:58최종 업데이트 : 2016-09-11 07:51:58 작성자 :   연합뉴스
닻 올린 경기도 '2기 연정'…순항 과제는_1

닻 올린 경기도 '2기 연정'…순항 과제는
연정부지사·연정위원장 역할 관심…남경필 대선 출마 핵심변수

(수원=연합뉴스) 최찬흥 기자 =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과 경기도-새누리당 간의 연정(聯政) 합의문 서명식이 지난 9일 열려 '2기 연정'의 막이 올랐다.
연정의 상징으로 더민주가 도에 파견하는 연정부지사(옛 사회통합부지사)에 강득구 전 도의회 의장이 이날 선출되기도 했다.



2기 연정이 공식 출범했지만, 실제 진용을 갖추는 데는 1개월 이상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통합부지사의 명칭을 연정부지사로 변경하는 내용의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 개정 조례안'이 도의회 의결을 거쳐 다음 달 1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강 전 의장은 10월 1일자로 취임하게 된다.
2기 연정부지사는 역할이 강화된다. 1기 사회통합부지사의 사무분장에 더해 연정합의문에 의한 연정실행과제 추진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는 내용이 합의문에 포함됐다.
1기 사회통합부지사는 보건복지국·환경국·여성가족국 등 3개 실·국을 소관했는데 연정부지사는 옛 정무부지사처럼 전체 실·국 업무를 아우르게 된다는 게 더민주 측의 설명이다.
더민주와 경기도-새누리당은 행정자치부가 '도의원 무보수 명예직' 지방장관제 도입에 반대함에 따라 대안으로 연정실행위원회에 연정위원장직을 신설하는 내용을 합의문에 넣었다.
연정의 컨트롤타워인 연정실행위원회는 연정부지사와 도의회 양당대표 등 공동위원장 3명, 양당 수석부대표·수석대변인·정책위원장 등 6명, 집행부 2명(기획조정실장·보건복지국장) 등 11명으로 구성됐는데 공동위원장 밑에 연정위원장 4명을 보강하는 방안이다.
더민주와 새누리당 도의원 2명씩 맡는 연정위원장은 도의회 상임위원회 소관분야를 나눠 담당한다.
연정위원장직을 새로 만들기 위해 '연정실행위원회 구성 및 운영 조례'를 개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도의회 임시회는 다음 달 11∼18일에나 예정돼 있다.
연정위원장의 격(格)과 권한이 부지사와 실·국장 사이 직급인 지방장관에 못 미쳐 도의원들의 호응을 얻을 지 미지수다.
연정실행위원회 위원인 보건복지국장 대신 연정협력국장을 포함하기로 합의문에 명시, 연정협력국의 신설도 예상된다. 그러나 이 또한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 개정 조례'의 개정이 필요해 다음 달 임시회 심의를 거쳐야 한다.



지방장관제와 함께 합의문 작성의 뜨거운 감자였던 '청년 구직 지원금제' 시행도 난항이 예상된다.
청년일자리 창출·확대 차원에서 저소득층 및 장기 미취업 청년의 구직활동에 직접 필요한 광의적 자기계발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사회참여 의지가 있는 미취업 청년에게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학원 수강비와 교재구입비, 그룹스터디 운영비 등을 월 50만원씩 주는 내용의 서울시 청년수당(청년활동지원사업)과 별 차이가 없다는 평가다.
도의회 관계자는 "경기도 청년 구직지원금과 보건복지부가 직권취소한 서울의 청년수당은 큰 틀에서 대동소이하다"며 "추진 과정에서 보건복지부의 제동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경기도의 청년 구직지원금 사업의 세부적인 내용이 확정된 뒤 대응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남 지사의 대선 출마 여부는 2기 연정 순항의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더민주는 남 지사의 대선 출마로 도정 공백이 심할 경우 연정을 파기할 수 있다는 조항을 연정합의문 초안에 넣었다가 도와 새누리당의 반발로 결국 삭제했다.
더민주 관계자는 "연정의 참여 주체는 더민주와 남 지사-새누리당인데 연정 참여자가 책무를 다하지 못하면 연정을 이어갈 수 없다는 게 우리당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연정부지사에 선출된 강 전 의장은 남 지사의 대선 출마 시 연정 지속 여부를 묻는 질문에 "제 개인보다는 우리당의 입장을 정리하는 것이 맞는다고 본다"며 즉답을 피했다.
남 지사는 내년 초 대선 출마에 대한 입장을 밝힐 계획이다.
c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