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길따라 멋따라> 천년고찰서 마음을 씻고 온천에서 몸을 씻고
2016-12-31 07:00:00최종 업데이트 : 2016-12-31 07:00:00 작성자 :   연합뉴스
거창 고견사…천 년 넘은 은행나무·사찰·의상봉 '한 폭의 그림'
원효·의상대사 창건, 동종·마애석불 등 볼거리…가조온천서 피로·땀 씻으면 제 격
(거창=연합뉴스) 지성호 기자 = 우리나라 유명 사찰 대부분은 법당 가까운 곳까지 차량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빠르고 편안한 것을 추구하는 요즘 세태에 맞춘 것이리라.
"여기는 차로 접근하지 못해 불편한 점도 많겠지만 그래서 아직 때 묻지 않은 청정도량이라고 생각한다."
경남 거창군 가조면 수월리 1번지 고견사(古見寺) 주지 현오 스님은 몸 담고 있는 사찰을 이렇게 소개했다.
고견사가 천년 고찰 다운 면모를 갖춰 자랑스럽다는 그의 속내를 짐작할 수 있는 말이다.
해발 1천46m인 우두산(牛頭山) 중턱에 있는 고견사는 신라 문무왕 7년(667년) 의상과 원효 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진다.
고견사는 원효대사가 절을 창건할 때 이곳에 와보니 전생에 와 본 곳임을 깨달았다는 데서 이름을 지었다고 알려졌다.
대한 불교 조계종 제15교구 본사 해인사의 말사다.
고견사는 1988년 9월 전통 사찰로 등록했다.
◇ 걸어야 가는 사찰…모노레일로 생필품 수송
고견사는 우두산 입구 주차장에서 오른쪽으로 계곡을 끼고 산길을 30~40분 걸어야만 갈 수 있다.
산길 입구에 선 표지판에는 의상봉(2.2㎞), 고견사(1.2㎞)라고 적혀 있다.
산길을 10여 분 걸으면 하늘에 닿은 듯한 가파른 계단이 나오고 오른쪽으로 고견폭포(견암폭포)가 방문객을 맞는다.
폭포를 한동안 바라보면 모든 세상 시름이 사라지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곳에서 20여 분 더 걸으면 천년 고찰 고견사에 이른다.
주차장에서 1.2㎞ 거리이지만 산길이어서 갈려면 평지보다 배 이상 힘이 든다.
이 때문에 고견사 측은 주차장에서 사찰 내부까지 모노레일을 설치했다.
사찰에서 사용하는 생활필수품 운반이 주목적이다.
가끔 나이가 많거나 몸이 성하지 않은 보살, 스님 등이 이용하기도 한다.
◇ 동종·석불·천 년 넘은 은행나무 등 볼거리
고견사에 가면 볼만한 문화유산이 많다.
고견사 동종(보물 제1700호), 고견사 석불(경남도 유형문화재 제263호), 조선 숙종이 내린 강생원(降生院) 현판 등이다.
고견사 대웅전 법당 안에 있는 동종은 1630년 만들어졌다.
용의 이마에 '왕(王)' 자를 새겨 놓은게 특이하다. 동종의 명문은 조선후기 일반적인 동종과 다르게 사찰의 연혁, 동종 제작에 소요된 실제기간, 제작에 들어간 물품 등을 자세하게 기록한 기문 형태라는 점에서 역사적 사료로 보존가치가 크다고 한다.
석불은 고려 때 화강암으로 만들어져 고견사 경내에 안치된 석조여래상이다.

<길따라 멋따라> 천년고찰서 마음을 씻고 온천에서 몸을 씻고_1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