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중국동포 성공시대> (18) 호텔 경영의 귀재 안석봉 씨
2016-10-17 07:00:00최종 업데이트 : 2016-10-17 07:00:00 작성자 :   연합뉴스
카운터 보던 청년이 지배인·총지배인 거쳐 7년 만에 CEO 변신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가 성공 비결…'레브호텔' 체인점 낼 것"
"자신감·열정으로 뛰어라…먼저 이해해 주길 기다리면 실패"
(서울=연합뉴스) 왕길환 기자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수원시청 뒤에 있는 '레브 부티크 호텔'. 지하 1층, 지상 6층 건물의 본관과 그 옆에 5층 규모의 별관이 붙어 있다. 총 102개의 객실을 둔 3성급 비즈니스호텔이지만 서비스는 5성급 못지않다는 평가를 받는다. 만실률이 95%를 차지할 정도다.
이 알짜배기 호텔의 총지배인은 중국동포(조선족) 안석봉(37) 씨다. 인근의 다른 호텔에서 일하다 2013년 4월 이곳으로 스카우트돼 운영을 맡은 지 1년 만에 부도 직전의 호텔을 흑자로 만들었다. 그는 다음 달에는 아예 이 호텔을 임대해 직접 경영한다.
안 씨는 지난 3월부터 인근에 있는 6층 규모의 'M스토리호텔'도 임대해 운영 중이다. 호텔을 경영하면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레브국제여행사'와 '로우제양꼬치' 전문점도 차렸다. 호텔과는 무관하게 살았던 안 씨가 어떻게 단기간에 이런 수완을 발휘하게 됐는지 궁금했다.
14일 레브호텔 커피숍에서 기자와 만난 안 총지배인은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와 관리로 쓰러져 가는 호텔을 살려냈고, 지금은 경영에 뛰어들었다"며 운을 뗏다. 그러면서 "앞으로 한국과 중국에 '레브호텔' 체인점을 낼 계획이며, 우선 중국 시안(西安)을 공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린(吉林)성 룽징(龍井)시 출신인 그는 연변대 일본어학과를 졸업하고, 곧바로 상하이에 있는 일본 회사에 취직했다. 그러나 적성에 맞지 않아 공부를 더 하기로 마음먹고 2년 만에 사직한 뒤 2006년 12월 한국에 입국했다. 고향이 강원도인 할아버지의 영향 때문인지 전혀 낯설지는 않았지만, 아직은 조선족에 대한 편견이 강할 때였다.
충남 청양에 있는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이미지경영학과에 입학한 그는 2년간 공부해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이즈음 유학 비자를 F4 비자로 바꿨다. 대학원을 마치고 그가 가장 먼저 한 일은 창업이었다. 2008년 안산에서 버블티를 만들어 팔았다. 지금은 공차(貢茶)라고 해 불티나게 팔리지만, 당시는 알려지지 않아 찾는 이가 없었고 결국 1년 만에 문을 닫았다.
그러고는 발을 디딘 곳이 호텔이다. 전문 지식이 없으니 밑바닥에서 출발했다.
"한국 경험도 하고, 경력도 쌓을 생각에 2009년 수원시청 뒤편에 있는 한 호텔에 카운터 업무를 보는 시간제 사원으로 취직했어요. 그러다 얼마 뒤 '더모스트호텔'에 정식으로 입사했고요. 역시 카운터 일을 봤죠. 당시 호텔은 매달 적자였어요. 빈방이 남아돌았고, 객실을 채우기 위해 손님을 받다 보니 방값을 떼이기 일쑤였습니다."
호텔은 월 3천만 원의 매출에 은행 이자만 3천500만 원을 내야 하는 등 심한 경영난으로 2차 경매를 겨우 넘긴 상황이었다. 주인 할머니가 고군분투하며 간신히 버텨나가고 있었다.
얼마 되지 않아 과장으로 승진한 그는 할머니가 안쓰럽다는 생각에 호텔을 살려보겠다며 팔을 걷어붙였다. 시장조사를 통해 자동차로 5분여 거리에 있는 삼성전자 고객들이 인근 호텔에 많이 투숙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

<중국동포 성공시대> (18) 호텔 경영의 귀재 안석봉 씨_1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