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제주 바닷길 정문 100년간 환히 밝힌 산지등대
2016-09-28 07:21:00최종 업데이트 : 2016-09-28 07:21:00 작성자 :   연합뉴스
불빛 22마일 비춰 선박 안전항해 길잡이…해양문화 체험장 역할도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전지혜 기자 = '제주 바닷길의 정문' 제주항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제주시 사라봉 등성이에는 하얀 등탑이 우뚝 솟아 있다.
해가 뉘엿뉘엿 질 무렵부터 동이 틀 때까지 어둠이 드리운 제주 앞바다 곳곳을 밝히는 산지등대다.
제주도 본섬에 최초로 세워진 유인등대 '산지등대'가 제주도 앞바다를 밝힌 지 다음달 1일로 꼭 100년이 된다.
산지등대가 처음 불을 밝힌 건 한일합병 6년째 되는 1916년 10월이다.
제주에 가장 먼저 생긴 등대는 지난 2006년 100주년을 맞은 우도등대(1906년 3월)며, 그다음 1915년부터 불을 밝힌 마라도 등대에 이어 산지등대에 불이 들어왔다.
산지등대가 있는 제주시 사라봉은 조선시대 왜적의 침입을 막는 방어 시설의 기능을 했다. 통신 수단이던 봉수대도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산지항(현 제주항)과 정뜨르비행장(현 제주국제공항) 일대를 감시하는 중요 군사기지 역할을 하는 등 예로부터 제주 앞바다를 조망하는 위치의 역할을 해온 곳이다.
산지등대는 애초 무인등대로 출발했지만, 이듬해 3월 유인등대로 변경됐다.
100년 전 세워진 등탑은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다. 그 옆에 모양새는 비슷하지만 높이는 두 배가량 되는 등탑을 새로 세워 1999년 12월 개장했다. 현재는 두 등탑이 사이좋게 나란히 서서 제주항을 내려다보고 있다.
신등탑의 등명기는 높이가 18m에 이른다. 등명기는 2002년 12월에 국내 기술로 개발한 고광력 회전식 대형 등명기로 교체했다.
등대에서 뻗어 나가는 불빛은 4줄기다.
전구의 불빛을 멀리 보내는 프리즘은 주기적으로 회전하며 주변을 두루 비춘다. 불빛 가닥이 한 번 닿은 곳에 다음 불빛이 닿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15초다.
등대 불빛은 22마일(약 35.4㎞)까지 다다른다고 한다.
해무가 짙게 껴서 불빛이 잘 보이지 않는 날에는 불빛이 아닌 소리(음파표지)가 길잡이 역할을 한다.
산지등대의 음파표지는 전자식 저주파 발진으로 발음기에 의해 소리를 내는 전기혼이다. 음파표지 소리는 3마일(4.8㎞)까지 닿는다.
산지등대 뒤편 제주시 건입동 일대에는 아파트와 주택 등이 밀집해있다. 그러나 전기혼이 바다쪽으로 향해있는 데다가 사라봉이 소리를 막아주기 때문에 집집마다 음파표지 소리가 크게 들리지는 않아서 민원이 제기되지는 않는다고 한다.
산지등대에서는 3명이 2교대로 12시간씩 근무한다.
예전에는 등대관리원이 일출몰 시간에 맞춰 등대를 켜고 꺼야 했지만, 요즘은 기계에 입력된 시간에 따라서 자동으로 등대에 불이 들어오고 꺼진다.
산지등대 불빛을 받으며 제주항을 드나드는 선박은 크게 늘었다.
제주항은 2∼7부두 및 외항 9∼11부두의 총 20개 선석에 화물선 14척과 연안 여객선 8척, 관공선 1척 등 23척의 선박이 대고 있어 선석이 포화수준이다. 제주항 1부두는 어선과 관공선

제주 바닷길 정문 100년간 환히 밝힌 산지등대_1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