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쉿! 우리동네] 백두대간 첫 고갯길 쉼터 충주 미륵원
2018-02-17 11:00:00최종 업데이트 : 2018-02-17 11:00:00 작성자 :   연합뉴스
신라 아달라왕 때 계립령으로 개통…고려 때까지 번성
(충주=연합뉴스) 김형우 기자 = "3년(156년) 여름 3월, 서리가 내렸다. (같은 달에) 계립령(鷄立嶺) 길을 열었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아달라왕(재위 154~184년) 때 있었다고 기록한 한 구절이다. 이에 해당하는 원문을 보면 '개계립령로(開鷄立嶺路)'이니, 없던 길을 뚫었다는 뜻이다. 물론 이때 개착이 요즘의 터널을 말하는 것은 아니라 험준한 고갯길을 비로소 개통했다는 말이다.
현대의 고속도로 개통과는 다르지만 그 의미는 경부고속도로 개통에 맞먹는 대사건이었다. 신라가 험준한 소백산맥에 막힌 한반도 중부로 통하는 길을 열었기 때문이다.
계립령 길이란 지금의 행정구역으로 따지면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와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를 잇는 고갯길이다.
지금은 하늘재라 불린다. 오죽 그 길이 험준했으면 이렇게 부르겠는가.
나아가 계립령 길은 현재까지 확인된 바로는 우리 땅에서 처음 생긴 백두대간 고갯길이란 점에서도 아주 큰 의의가 있다.
그런 까닭에 계립령은 군사적 요충이었을 뿐만 아니라 소백산맥을 넘나들며 활발히 활동하던 상인이나 관리들이 이용하던 길이었다.
쉽게 말해 현재의 고속도로 같은 역할을 한 셈이다. 고속도로에는 군데군데 휴게소가 있기 마련이다. 경부고속도로가 소백산맥을 관통하는 경북 김천과 충북 영동을 잇는 고갯마루엔 추풍령휴게소가 있고, 태백산맥을 관통하는 이전 영동고속도로에는 대관령 휴게소가 있다.
마찬가지로 계립령 길에도 휴게소가 있었다. 길손들이 쉬어가는 휴게소 역할을 한 호텔이자 사찰, 바로 미륵대원(彌勒大院)이다.
◇ 미륵이 보호하는 휴게소
미륵이란 미래불이다. 현세의 석가모니 부처가 열반하고 난 뒤 5억6천만 년 뒤에 온다는 구원의 부처다. 석가모니는 그가 다음 보위를 이을 미래 부처임을 수기(예언)했다. 그런 까닭에 미륵보살, 혹은 미륵부처에 대한 불교신앙은 언제나 흥성했다. 구원의 부처이자 보살이니 산적이나 호랑이를 만날지도 모르는 고갯길 나그네들한테는 수호신이었다.
미륵대원은 당시 고갯길을 넘던 사람들의 애환과 아픔을 구원하고 보듬어준 삶의 안식처이자 휴게소였다. 미륵이라는 말로 보아 사찰이기도 했지만, 큰 집이라는 대원(大院)을 붙였으니, 숙박시설이기도 했다. 불교가 억압됐다는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사찰은 휴게소를 겸한 데가 많았으니, 영남대로상에 위치하는 양산 통도사는 조선통신사가 자주 이용했다.
정치영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가 쓴 '충북의 고개문화'에 따르면 조선시대 지리지인 신중동국여지승람에는 16세기 충북에만 해도 약 100개에 달하는 원(院)이 있었다.
발굴결과 회(回)자형 구조인 미륵대원에는 가운데에 말을 묶어 둔 마방(馬房) 시설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조선시대 말은 곧 지금의 자동차였으니 그 성격을 알 만하다. 주변에서 터가 확인된 각종 건물은 여행객 숙소나 관리인이 기거했던 곳으로 추정된다.
임대경 충주시 학예연구사는 "미륵대원 인근에는 민간이
[쉿! 우리동네] 백두대간 첫 고갯길 쉼터 충주 미륵원

[쉿! 우리동네] 백두대간 첫 고갯길 쉼터 충주 미륵원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