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연합이매진] 국립등대박물관
2018-01-09 08:01:01최종 업데이트 : 2018-01-09 08:01:01 작성자 :   연합뉴스
'바다 길잡이' 등대 역사가 숨 쉬는 공간
(포항=연합뉴스) 이창호 기자 = 넓은 바다 위 작은 섬 위에 외롭게 서 있는 등대(燈臺). 캄캄한 어둠 속에서 항해하는 사람들에게 빛을 선사해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항해자에게는 생존의 길잡이인 등대를 생각하면 저절로 떠오르는 노랫말이 있다.
"얼어붙은 달그림자 물결 위에 차고/ 한겨울에 거센 파도 모으는 작은 섬/ 생각하라 저 등대를 지키는 사람의/ 거룩하고 아름다운 사랑의 마음을/ 모질게도 이 바람이 저 바다를 덮어/ 산을 이룬 거센 파도 천지를 흔든다/ 이 밤에도 저 등대를 지키는 사람의/ 거룩한 손 정성이여 바다를 비춘다"
수많은 시인과 예술가들이 작품의 소재로 즐겨 삼았던 등대는 안전한 바닷길을 인도하며 해상 교통을 책임지는 '바다의 지킴이'를 넘어서 감성을 자극하는 '낭만의 공간'이기도 하다. 삶에 지친 사람들의 외로움과 그리움을 달래줄 뿐만 아니라 희망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세계 최초의 등대는 기원전 280년 만들어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항구의 '파로스등대'로 알려졌다. 우리나라에선 최초의 근대식 등대인 인천 팔미도등대가 1903년 6월 1일 불을 밝힌 이후 남해안 최초인 거문도등대(1905), 부산 영도등대(1906), 국토 최서남단의 가거도등대(1907), 서해 최북단 섬의 소청도등대(1908), 한반도 최동단의 호미곶등대(1908), 유럽풍의 빼어난 건축미를 자랑하는 가덕도등대(1909), 최남단의 마라도등대(1915), 우리 땅을 지키는 독도등대(1954) 등이 주요 항만과 어항, 섬에 세워졌다.
호랑이 꼬리를 뜻하는 호미(虎尾)곶에 세워진 호미곶등대(경상북도 기념물 제39호)는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벽돌로만 지어진 팔각 구조물이다. 내부는 6층으로 높이는 26.4m. 하얀색 등대의 천장에는 대한제국 황실 문양인 오얏꽃(李花文)이 새겨져 있고, 출입문과 창문은 고대 그리스 신전 건축양식을 닮았다. 건립 당시의 이름은 동외곶등대였고, 이후 장기압등대와 장기곶등대를 거쳐 2002년 호미곶등대로 바뀌었다. 110년의 역사를 품은 등대 바로 옆에는 국립등대박물관이 있다. 1985년 문을 연 국내 유일의 등대 전문박물관이다.
◇ 우리나라 110년 등대 역사 한눈에
국립등대박물관은 유물관, 역사관, 체험관 3개 동과 야외전시장, 테마공원으로 구성돼 있다. 제일 먼저 들르게 되는 유물관은 정보검색코너, 항로표지 역사관, 항로표지유물관, 등대원 생활관, 등대사료관 등 다섯 가지 주제로 구분해 놓았다.
박물관 안내센터 바로 앞에는 팔미도 등대를 시작으로 불을 밝힌 순서대로 전국의 48개 등대 사진이 걸려 있다. 안내센터 왼쪽의 정보검색실에서는 관람 전에 소장된 유물을 미리 살펴볼 수 있다. 오른쪽의 항로표지역사관에 들어서면 세계와 우리나라 항로표지 역사를 일목요연하게 훑어볼 수 있다. 입구에서 세계 각국의 등대와 우리나라 등대를 3D 영상으로 보고 난 뒤 세계 등대 역사를 연대기별로 알아볼 수 있다.
이집
[연합이매진] 국립등대박물관

[연합이매진] 국립등대박물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