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제주향토음식] ① 자연 그대로 싱싱함이 맛의 원천
2017-11-19 06:00:01최종 업데이트 : 2017-11-19 06:00:01 작성자 :   연합뉴스
봄·여름·가을·겨울 제철따라 입맛 돋우는 대표 음식
자리물회, 갈칫국, 고기국수, 성게국, 돔베고기 등 20선
[※ 어느 지역을 여행하든 향토음식을 먹지 않고는 그 지역의 문화를 알 수 없는 법입니다. 연간 1천만명 이상의 많은 사람이 제주를 찾지만, 자극적인 입맛에 길든 현대인들은 정작 진정한 제주향토음식을 맛보지 못하고 돌아가기에 십상입니다. 450여 가지에 달하는 제주향토음식 중 봄·여름·가을·겨울 제철에 따라 맛볼 수 있는 대표 음식을 소개하고, 전문가와 함께 그 가치와 특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몸에도 좋은 건강한 먹을거리로서 제주향토음식을 보전하고 전국,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한 방안과 과제를 3편에 걸쳐 송고합니다.]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제주향토음식의 특색은 산과 들, 바다에서 나오는 다양하고 신선한 청정재료에 있다.
싱싱한 원재료의 맛을 간직하면서 멋 부리지 않고 담백하게 조리한 제주향토음식을 맛있게 먹으려면 계절에 따라 나오는 식재료들과 이를 바탕으로 요리되는 음식을 알아야 한다.
쌀쌀한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가을, 제주에서 뭘 먹어야 잘 먹었다는 소문이 날까.
좀 안다 하는 사람들은 단연코 '갈치'를 선택한다.
겨울을 나기 위해 통통하게 살이 오른 가을 갈치는 '돼지 삼겹살보다도 맛있고 은빛 비늘은 황소값보다도 높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가을 갈치에 잘 익은 늙은 가을 호박을 넣어 끓인 갈칫국은 환상적인 조합이 된다.
담백하면서도 시원한 국물 맛과 젓가락으로 툭 떼어 낸 갈치살의 부드럽고 달착지근한 맛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끓는 물에 갈치를 토막 내어 넣고 거의 익을 때쯤 채소를 넣어 마지막에 국간장으로 간을 하면 되는 초간단 음식인 갈칫국.
그 맛의 시작과 완성은 재료의 싱싱함에 있다.
다른 지역에서 갈치로 국을 끓여 먹는 건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다.
흰살생선임에도 지방이 많아 싱싱한 갈치가 아니면 비린내가 나서 국을 끓일 수 없다.
제주에서는 당일 조업해 잡은 '당일바리' 은갈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국을 끓여 먹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요즘에는 기술이 발달해 먼바다에 가서 여러 마리를 한 번에 낚아 올리는 '주낙'으로 갈치를 잡아 선상에서 바로 급속냉동한 갈치가 있기는 하지만, 최고 중의 최고는 가까운 바다에서 한 마리씩 '채낚기'로 잡은 당일바리 생갈치다.
냉동갈치와 생갈치는 조리 후 그 질감과 맛에 차이가 있다. 생갈치로 끓인 경우 맛이 더 달착지근하고, 갈치살이 더 부드럽다.
이외
[제주향토음식] ① 자연 그대로 싱싱함이 맛의 원천

[제주향토음식] ① 자연 그대로 싱싱함이 맛의 원천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