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연합이매진] 한민족 대표민요 정선아리랑제
2017-11-12 08:01:03최종 업데이트 : 2017-11-12 08:01:03 작성자 :   연합뉴스
아리랑 본향에서 아리랑 가락에 심취하다
(정선=연합뉴스) 임형두 기자 = 첩첩산중의 강원도 정선 땅은 한민족의 대표민요인 아리랑의 발상지다. 먼 옛날, 이곳에서 태어난 아리랑 가락은 강줄기를 따라, 산고개를 넘어 전국으로 퍼져나갔다. 그리고 한민족의 애환과 흥을 담은 상징적 노래로 세계에도 널리 알려졌다. 그 시원의 땅에서 매년 가을 개최되는 정선아리랑제. 올해도 한가위 추석 명절을 앞두고 신명나게 펼쳐졌다.
"눈이 올라나 비가 올라나 억수장마 질라나/ 만수산 검은 구름이 막 모여든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 아리랑 고개고개로 날 넘겨주소"
느리고 구성진 가락의 정선아리랑. 한민족의 정서가 깃든 가락에서는 눈물과 한의 역사가 느껴진다. 아리랑은 우리 민족에게 아픔을 치유하고 위안을 얻고 희망을 찾는 어머니 품과 같았다. 마음의 고향인 그 품에서 해원상생과 대동단결을 꿈꿨다. 정선아리랑은 건널 수 없는 아우라지강을 사이에 두고 처녀와 총각의 이루어지지 않는 러브 스토리를 애틋하게 담고 있기도 하다.
"아우라지 뱃사공아 배 좀 건네주게/ 싸리골 올동박이 다 떨어진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 아리랑 고개고개로 날 넘겨주소"
◇ 어울림 한마당…아라리 길놀이로 '흥청'
대표적 아리랑축제인 정선아리랑제가 한가위 추석 명절을 앞두고 지난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조양강변의 아리랑공원과 아라리촌, 아리랑센터, 녹송공원 일대에서 열렸다. 이 축제는 올해로 42회째. 오랜 역사만큼이나 풍요로운 프로그램들로 축제장은 연일 뜨겁게 흥청거렸다.
올해 축제는 9월 29일 오후 '정선아리랑 대합창극 아리랑 무극'으로 막을 올려 칠현제례, 춤추는 멍석아라리, 전산옥 주막 한마당, 뗏목 제례와 시연, 전국아리랑 경창대회 등으로 다채롭게 진행됐다. 10월 2일 저녁 '아리랑 - 빛을 발하다'라는 주제의 공연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개막에 앞서 정선읍내를 후끈 달군 것은 '아라리 길놀이'. 정선군의 9개 읍·면 대표단은 물론 외국 유희단 등 2천여 명이 대거 참가한 길놀이는 조양강의 정선1교에서 출발해 축제장인 아라리공원까지 1.5km 구간에서 2시간여 동안 신명나게 펼쳐졌다.
"덩덩 덩더꿍! 덩덩 덩더꿍!"
각 읍면의 풍물단이 앞장서 신나게 분위기를 돋우는 가운데 춤꾼들은 저마다의 춤사위로 거리에 활력이 넘치게 했다. 거리 양쪽을 메운 구경꾼들도 제 흥에 겨웠는지 환호와 어깨춤으로 분위기를 한껏 즐겼다.
화암면 길놀이단 일원으로 나온 하얀 광목 치마저고리 차림의 윤태분(70) 할머니는 "화암동굴 등 화암팔경을 재현해 퍼레이드하고 있다"며 "우리 고장도 알리고 축제도 즐겨 이래저래 기분 좋다"고 덩실덩실 춤을 췄다.
야생화 머리띠를 두른 채 야생화 꽃씨를 구경꾼들에게 나눠준 이지후(12·고한초등) 어린이는 "해마다 축제에 참가하는데 꽃씨를 나눠주면 저절로 재밌어져요"라며 활짝 웃었다.
외국인 길놀이꾼도 여기저기 눈에 띄었다. 그중 하나가 코트디부아르의 타악그룹 쿰바야. 이들은 자국의 전통 타악기를 쉴 새 없이 두드리며 이색적인 즐거움을 안겨줬다. 단원인 마리아 바샤(23·여) 씨는 "멀고 먼
[연합이매진] 한민족 대표민요 정선아리랑제

[연합이매진] 한민족 대표민요 정선아리랑제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