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길따라 멋따라] 김포 평화누리길 걸으며 문화유산 답사
2017-06-17 07:00:00최종 업데이트 : 2017-06-17 07:00:00 작성자 :   연합뉴스
평화누리길 김포 코스 총 29㎞…덕포진·문수산성 볼거리
(김포=연합뉴스) 손현규 기자 = 북한과 맞닿은 접경지역 중 한 곳인 경기도 김포는 강으로 둘러싸여 있다.
동남쪽에는 김포한강신도시 등 아파트 밀집 지역, 서남쪽은 각종 산업단지가 자리 잡고 있다.
국제공항을 끼고 있고 서울과도 1시간 거리로 가깝다. 서울 지하철과 연결된 버스도 많아 접근성이 뛰어나다.
쉽게 갈 수 있다고 꼭 관광객들이 찾는 건 아니다. 도시의 매력이 있어야 발길을 붙잡을 수 있다.
김포는 접경지역이라는 지정학적 특성에 잘 보전된 문화유적지가 적절히 배합된 곳이다.
김포 여행은 염하강을 사이에 두고 인천 강화도와 맞닿은 서쪽 대명포구에서 배를 먼저 채우고 시작하는 게 좋다.
수도권에서 인천 소래포구 다음으로 큰 대명포구에서는 계절별로 서해에서 잡히는 갖가지 생선회를 맛볼 수 있다. 포구 주변에는 횟집이 즐비하고 어판장도 있어 수산물을 싼값에 살 수도 있다.
어판장에서 판매하는 수산물은 대명항 어부들이 직접 바다에서 잡은 자연산이다. 각종 횟감뿐 아니라 꽂게와 주꾸미 등도 맛볼 수 있다. 특히 겨울철 동어와 밴댕이를 싼값에 즐기려는 식도락가들이 즐겨 찾는다.
트래킹을 즐긴다면 염하강과 한강을 끼고 걷는 김포 평화누리길이 제격이다. 모두 3개 코스로 나뉘어 있다.
배를 채운 대명항에서 평화누리길 1코스가 시작된다.
염하강철책길로도 불리는 이 코스는 왼편으로 강화도를 마주 보며 3m 높이의 철책을 따라 14㎞가 이어진다. 4시간 거리다. 이 길은 과거 군부대의 순찰로로 쓰이다가 2013년부터 일반에 공개됐다.
북한의 침투를 막기 위해 쳐 놓은 높다란 철책을 마주하면 한반도 분단의 비극을 몸으로 느낄 수 있다. 어린이나 청소년들을 위한 안보 체험장으로도 손색없다.
철책을 따라 한참 걷다 보면 구한말 신미·병인양요 때 사용한 대포 등이 전시된 덕포진과 마주한다.
사적 제292호인 덕포진은 서해에서 강화만을 거쳐 서울로 진입하는 길목으로 구한말 군사요충지였다.
한남정맥의 종착점인 김포 문수산성 남문에서 애기봉까지 이어지는 8Km의 2코스, 애기봉에서 한강 변을 따라 후평리 철새도래지를 거쳐 전류리 포구까지 연결되는 17㎞의 3코스까지 걸어야 김포 평화누리길이 끝난다.
이 길은 경기도 고양, 파주, 연천까지 이어진다. 김포부터 연천까지 총 12개 코스 184㎞에서 'DMZ(비무장지대) 트래킹'을 즐길 수 있다.
특히 사적 139호로 지정된 문수산성은 과거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과 격전이 벌어졌던 장소

[길따라 멋따라] 김포 평화누리길 걸으며 문화유산 답사_1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