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연합이매진] 암벽에 불어넣은 백제의 미소
2017-06-11 08:01:00최종 업데이트 : 2017-06-11 08:01:00 작성자 :   연합뉴스

(서산=연합뉴스) 이창호 기자 = 마애불(磨崖佛)은 깎아지른 벼랑의 바위나 아기자기한 바위에 새겨놓은 불상을 말한다. 기원전 2∼3세기 무렵 인도에서 탄생한 마애불은 4세기 중엽 중국을 거쳐 7세기 전후 백제문화권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다. 이후 우리 산야 곳곳의 암벽에 새겨진 마애불은 미륵 세상에의 염원을 바위에 새긴 조각품이지만 어느 문화유산보다 자연과 예술, 종교와 삶이 함께 어우러진 문화유산이다.
하늘과 가까이 맞닿은 곳, 깎아지른 암벽에 새겨진 마애불은 보는 이로 하여금 경외심을 갖게 하는데, 그 대표적인 예술품이 바로 백제 시대 최고의 걸작품으로 손꼽히는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국보 제84호)이다.
김재신 문화관광해설사는 "현재 서산시 운산면은 백제 때 중국으로 통하는 교통로의 중심지인 태안반도에서 사비로 가는 길목으로 선진문물이 백제로 들어오는 관문이었다"면서 "뱃길의 안전을 기원하는 목적으로 조성된 마애삼존불의 미소는 아침저녁으로 또 계절에 따라 다른데 보는 이들에게 절로 감탄사가 흘러나오게 하는 걸작품"이라고 말한다.
고풍저수지를 지나 계곡 안쪽으로 들어가 식당 '용현집' 앞에서 다리를 건너 꼬불꼬불한 계단을 올라가면 관리사무소를 만난다. 이곳에서 불이문을 거쳐 산길을 조금 오르면 1천300년 넘게 웃고 있는 마애불이 반긴다. 부처마다 웃고 있는 모양이 가지각색이지만 그 웃음이 넉넉하여 '백제의 미소'라 부른다.
석공이 벼랑의 바위에 매달려 정과 망치로 화강암을 쪼아 미소를 빚었는데, 햇살이 비치는 방향에 따라 머금는 미소가 천차만별이다. 오랜 세월 눈과 비바람의 세파에도 그 미소는 변함이 없다. 시공을 뛰어넘는 감동이 충만한 공간이다.
계곡 물이 흘러 접근하기 힘든 절벽 중간, 비바람이 정면으로 들이치지 않는 약간 기울어진 바위벽에 여래삼존불을 새겨놓았다. 차디찬 바위에 생명을 불어넣은 장인의 공간 선택이 절묘하다.
삼존불은 6∼7세기 동북아시아에서 유행한 보편적 형식이지만 보주(寶珠)를 들고 있는 입상보살과 반가보살이 함께 새겨진 것은 중국이나 일본, 고구려, 신라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형식이다.
마애삼존불은 정동 쪽을 향하고 있는데 현재를 나타내는 석가여래입상을 중심으로 과거를 뜻하는 제화갈라보살입상과 미래를 의미하는 미륵반가사유상이 좌우에 협시불로 서 있다. 연꽃잎을 새긴 대좌에 늠름히 서 있는 석가여래입상은 둥글고 풍만한 얼굴 윤곽에 반원형의 눈썹, 얕고 넓은 코, 살구씨 모양의 눈을 크게 뜨고 입가에 은은한 미소를 머금고 있다. 근엄한 부처님이라기보다는 당시 백제사람들의 따뜻한 낯빛과 심성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온화한 모습이다.
높이 2.8m에 이르는 여래입상은 바닷길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두려움과 근심을 물리치고 소원을 이루게 해주려는 듯 다섯 손가락을 가지런히 펴고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어깨높이까지 올린 시무외인과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내린 여원인을 하고 있다.

[연합이매진] 암벽에 불어넣은 백제의 미소_1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