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길따라 멋따라] 국토 막둥이 섬, 제주 비양도로 혼행
2017-05-27 07:00:00최종 업데이트 : 2017-05-27 07:00:00 작성자 :   연합뉴스
1천년 전 화산활동 형성…이색 풍경에 빠져들며 치유·성찰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제주시 한림항 북서쪽 5㎞ 앞바다에 있는 비양도(飛揚島)가 혼자서 여행하는 이른바 '혼행족'이 즐겨 찾는 섬으로 떠오르고 있다.
제주 본섬과 동떨어진 한적한 이 섬에서는 번잡한 생활에서 한 걸음 뒤로 물러나 나만의 시간을 온전히 즐길 수 있어서다.
혼자 떠나는 여행인 혼행은 '혼밥'(혼자 먹는 밥), '혼술'(혼자 마시는 술), '혼영'(혼자 보는 영화) 등과 함께 요즘 세태가 반영된 1인 문화의 하나다.
제주시 한림항에서 뱃길로 10여 분만 가면 이 섬에 난 길에 첫발을 디딜 수 있다.
전체 0.59㎢ 면적에 70명이 살고 있다.
비양포구에 도착하면 집들이 올망졸망 모인 작은 마을과 맨 먼저 마주한다.
마을 안 돌담길은 폭이 좁으면서도 아기자기한 맛이 있다. 제주의 옛 골목길인 올레길처럼 집들 사이로 난 길이 꽤 정겹다.
돌담 높이가 낮아 집 안의 주민과 눈이 마주칠 때도 있지만 누구 하나 개의치 않는다.
해산물 채취를 끝낸 해녀 할망(할머니)들은 마을 안 그늘에 앉아 시간을 보낸다.
간간이 보이는 다른 주민도 무엇하나 바쁠 것 없다. 강아지도 느린 걸음이다.
분주히 움직이는 사람은 나그네들인 관광객뿐이다.
사람들의 발길이 비양도에 처음 닿기 시작한 것은 고려 말 때부터라고 한다.
섬 자체도 고려 목종 때(서기 1002년 6월)에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화산활동으로 '하늘에서 뚝 떨어지듯' 없던 섬이 갑자기 생겼다고 해서 섬 이름이 비양도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고려 목종 5년 때 산이 바다 한가운데서 솟아 나왔는데 … 붉은 물이 솟다가 닷새 만에 그쳤으며 그 물이 엉겨 모두 기와 돌이 됐다'고 기록돼 있다.
이 기록에 맞춰 탄생 1천년이 된 지난 2002년 '비양도 천년 기념비'가 세워지기도 했다.
다음 달이면 섬이 생긴 지 1천15년이 되는 셈이다.
간척사업 등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토로는 가장 막내 격이다.
섬 곳곳에서도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이 섬의 탄생 흔적을 엿볼 수 있다.
비양포구에서 서쪽으로 해안을 따라 돌면 '애기 업은 돌'이라고 불리는 용암 괴석이 있다.
크기가 다른 용암 괴석 두 겹이 겹쳐져 어머니가 아기를 업은 모습 같아서 그렇게 불린다.
그 주변에는 '호니토'라는 화산탄이 분포해 있다.
제주 최대의 화산탄 산지인 이곳은 직경 4m, 무게 10t에 달하는 초대형 화산탄도 있다.
화산탄은 화산활동 중에

[길따라 멋따라] 국토 막둥이 섬, 제주 비양도로 혼행 _1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