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연합이매진] 신사임당의 아름다운 발자취를 찾아서
2017-03-12 08:01:00최종 업데이트 : 2017-03-12 08:01:00 작성자 :   연합뉴스

(강릉·파주=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대학자를 길러낸 현모양처, 천재 화가, 5만원권 지폐 모델.
신사임당을 수식하는 말들이다. 이들 수식어만큼이나 그녀의 이미지는 시대에 따라 다양했다. 최근 TV 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가 주목받으면서 신사임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강원도 강릉 오죽헌과 경기도 파주의 율곡 이이(李珥) 선생 유적지에 남겨진 신사임당의 자취를 찾아봤다.
강릉에 있는 보물 제165호 오죽헌(烏竹軒). 조선 중종 때 건축된 정면 3칸, 측면 2칸 단층 팔작지붕의 조그만 일자형 집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주택 건축물 중 하나로, 이곳에서는 조선 시대 최고 여류 화가인 신사임당(1504~1551)과 대학자 율곡 이이(1536~1584)가 태어났다.
사임당은 오죽헌에서 꽤 오래 생활했다. 19살에 이원수와 혼인한 후에도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이곳에서 삼년상을 치렀다. 선조 때는 파주 율곡리로 이사해 기거하기도 했지만 홀로 사는 어머니와 주로 함께 보내고 셋째 아들 율곡을 낳은 곳은 오죽헌이었다. 당시는 처가살이가 일반적인 풍습이었다고 한다. 시집에서 생활하는 풍습은 17세기 중반 이후에 정착됐다.
정면 3칸 중 가운데에는 '오죽헌', 오른쪽에는 '몽룡실'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몽룡실은 바로 율곡이 태어난 방이다. 꿈에 용이 나타났다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진다. 방에서는 인자한 표정의 사임당이 그림 속에서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몽룡실 왼쪽은 넓은 마루로 율곡이 여섯 살까지 놀며 글을 읽던 곳이다. 사임당과 어린 율곡이 마루에 앉아 함께 글을 읽는 모습이 그려지는 듯하다.
마루에는 "예가 아니면 보지도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도 말고, 예가 아니면 말하지도 말고, 예가 아니면 행동하지 말아야 할 것이니, 이 네 가지는 몸을 닦는 요점이다"라는 '격몽요결'의 구절이 게시돼 있다. 바로 옆에는 "사람을 상대하는 데는 마땅히 화평하고 공경하기에 힘써야 하며, 친구를 사귀는 데는 반드시 학문을 좋아하고 착한 일을 좋아하는 사람을 골라서 사귀어야 한다"는 구절도 있다. 모두 현대인이 담고 살아가면 좋은 글귀다.
◇ 사임당 숨결 깃든 고택과 정원
오죽헌 주변으로는 사임당과 율곡 선생이 직접 가꿨다는 수령 600년이 넘은 매화나무, 소나무, 배롱나무가 있다. 신사임당은 특히 매화를 좋아해 맏딸 이름을 '매창'(梅窓)이라 지었고 매화 그림을 즐겨 그렸다. '율곡매'란 이름의 이 매화나무는 천연기념물 484호로 지정돼 있다. 오죽헌에서 사랑채로 가는 길에는 집 이름이 연유한 줄기가 검은 대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서 있다.
오죽헌 뒤쪽 협문을 지나면 바깥채와 안채가 나타난다. 바깥채 주련에는 추사 김정희의 필적으로 판각한 명나라의 시구가 있다. 안채 한쪽에는 사임당이 서울 시집에 있을 때 고향에 홀로 계신 어머니를 그리며 지은 '어머니를 그리며'란 시가 보인다. "산 첩첩 내 고향 여기서 천 리/ 꿈속에도 오로지 고향 생각뿐"으로 시작하는 시에서는 어머니를 보고 싶어하는 사임당의 애틋한 마음이 읽힌다.


[연합이매진] 신사임당의 아름다운 발자취를 찾아서_1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