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신종플루, 음주습관 개선으로 예방 효과
2009-09-03 14:10:20최종 업데이트 : 2009-09-03 14:10:20 작성자 : 편집주간   김우영

알코올로 인한 질병과 사망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 중 최근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호흡기 감염병인 신종플루의 경우 음주습관 개선으로 예방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관심을 받고 있다.

음주는 인체 거의 모든 부위에 영향을 미쳐 암, 당뇨, 간질환, 소화기계 질환뿐 아니라 호흡기 감염 등의 각종 급/만성 질병으로 인한 사망의 기여요인이 될 수 있다.

질병의 알코올기여도를 살펴보면, 폐렴 27%, 결핵 23%, 호흡기질환 27%로서 알코올이 예상보다 높게 호흡기계 질환의 발병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은 호흡기능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나쁜 영향을 준다.
첫째, 호흡의 기계적 방어기능을 약화시키고,  둘째, 호흡기의 세균제거능력에 장애를 가져오며, 셋째, 면역능력을 떨어뜨려 감염에 취약하게 한다. 특히 알코올 중독 환자들은 세균성 폐렴에 걸리기 쉽다.

해외의 연구 결과, 음주는 우리인체의 면역기능을 약화시켜 감염에 취약하게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1일 5잔 이상의 지나친 음주는 간 기능에 무리를 주고 체내 비타민과 무기질의 과다소모를 가져와 피로에서 회복되는 것을 더디게 할 뿐만 아니라,  특히 간질환과 당뇨 등의 질환을 지닌 사람이 복용하는 약물의 효과를 떨어뜨려 질병을 악화시키고 신체의 저항력을 감소시킬 위험성이 있다.

특히, 우리의 음주문화의 특징 중의 하나인 술잔돌리기는 신종플루의 전염경로인 비말(飛沫, 입에서 배출되는 작은 물방울)접촉을 통해 감염을 확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종플루가 확산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절주나 금주를 통하여 면역능력을 향상시켜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고, 나아가 술잔을 돌리지 않는 음주문화로 신종플루의 감염확산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 : 알코올 관련 사망자 수, 통계청>

구분

2006년

2007년

2008년

1일 평균 사망자 수(명)

12.3

12.9

12.7

총사망자 수(명)

4,491

4,701

4,643

※ 알코올에 의한 직간접적 질환 및 중독사고를 포함. 단 비의도적 손상, 타살, 태아알코올증후군과 같은 비간접적 관련 사망은 제외 <자료제공/보건복지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