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신록과 봄꽃 아름다운 산성을 걷자
봄철 산행과 역사 공부 겸한 수원 인근 산성기행
2009-04-17 16:00:43최종 업데이트 : 2009-04-17 16:00:43 작성자 : 편집주간   김우영

이제 완연한 봄이다.
집안에만 앉아 있기엔 이 봄빛이 너무 아름답다. 들에 산에서 피어오르는 생명의 기운들도 끊임없이 도시민들을 유혹한다.

어디로 갈까? 이번 봄에는 날을 잡아 수원 인근 산성을 찾아보도록 하자.
산행을 하면서 건강을 다지고 옛 성을 걸으면서 선조들의 숨결과 호국 의지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고대부터 현재까지 한반도의 요충이었던 수원 인근에는 상상 밖으로 산성이 많으므로 우선 접근성이 편하고 잘 주변 풍경이 좋은 곳부터 선정해 사전 지식을 공부한 다음 하나씩 다녀오면 어느 틈에 향토사학자나 성곽 전문가가 되어 있을 것이다.

◆독산성(오산시)
주소 경기도 오산시 지곶동 162-1
문의 전화 031-370-3065(문화공보담당관실)

신록과 봄꽃 아름다운 산성을 걷자_1
독산성

독산성은 다른 이름으로 독성산성이라고도 한다.
선조 26년(1593) 임진왜란 중에 권율 장군이 전라도로부터 병사 2만여 명을 이끌고 이 곳에 주둔하여 왜병 수만 명을 무찌르고 성을 지킴으로써 적의 진로를 차단했던 곳이다.
독산성이 언제 만들어졌는지 분명하지는 않으나 원래 백제가 쌓은 성일 것으로 추측되며, 통일신라시대나 고려시대에도 군사상 요충지로 쓰였을 것으로 본다.
선조 27년(1594) 백성들이 산성을 쌓고, 임진왜란이 끝난 선조 35년(1602)에 당시 부사 변응성이 다시 보수하고, 그후 정조 16년(1792)과 20년(1796)에도 다시 공사했다.
성 둘레는 3,240m이고 문도 4개이지만 성 안에 물이 부족한 것이 큰 결점이었다. 이런 결점 때문에 이 곳에는 세마대(洗馬臺)의 전설이 있는데, 권율 장군이 산위로 흰 말을 끌어다가 흰 쌀로 말을 씻기는 시늉을 해 보이므로 왜군이 성안에 물이 풍부한 것으로 속아서 물러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지정번호 : 사적 제140호
-지정일 : 1964년 08월 29일
-시대 : 삼국시대
-주변먹거리:정호농장 (031-372-3551), 선녀와 나뭇꾼 (031-372-2440), 솔뫼마을 (031-372-4446)
-주변관광지:오산 금암동 지석묘군, 외삼미동 지석묘, UN군 초전기념비, 보적사, 오산시 궐리사, 궐리사성적도목판

◆당성(화성시)
주소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상안리 산32
문의 문화홍보과 문화시설담당 031-369-2068

신록과 봄꽃 아름다운 산성을 걷자_2
당성

계곡을 둘러 쌓은 포곡식 산성으로 남북으로 길다란 네모에 가까운 형태를 하고 있다.
현재는 동문·남문·북문 터와 우물터, 건물터가 남아있으며, 성의 내벽은 흙으로 쌓고, 외벽은 돌로 쌓았다.
이 지역은 처음에는 백제의 영역이었다가 한때 고구려의 영토로 당성군이라 하였으나 신라가 이 지역을 점령하게 되자 당항성이라 하고, 바다를 건너 중국과 통하는 길목의 역할을 하던 곳이다.
성벽은 쌓은 벽이 무너져 마치 흙과 돌을 합쳐서 쌓은 것처럼 보이지만, 흙성의 성벽을 돌로 쌓아 올린 흔적이 남벽 쪽에 약간 남아있다.
당성이 소재하는 남양지역은 지금은 화성시이지만 신라 경덕왕 때는 당은군으로서, 중국과의 교통로로서 중요한 구실을 하였으며, 신라 후기에는 이곳에 당성진을 설치해서 청해진과 함께 신라 해군의 근거지로 중요시되었던 곳이다.
이곳은 당항성과 관련되는 가장 중요한 유적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소유자 : 문화재청
-관리자 : 문화재청
-지정번호 : 사적 제217호
-지정일 : 1971년 04월 15일
-규모 : 77681, 성둘레 : 1,200m
-시대 : 삼국시대

◆망이산성(안성시)
주소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금산리 산 48
전화 031-678-2065 (안성시청 문화공보실)

삼국시대에 축조된 산성으로, 해발 472m의 망이산 정상에서 북쪽으로 낮은 능선을 따라 성벽을 쌓았다.
남쪽으로는 음성군 삼성면과 멀리 진천군 일대의 들판이 내려다보이는 군사요충지. 산정상 주변에 흙으로 내성을 쌓고 능선에는 길이 약 2㎞에 걸쳐 돌을 사용하여 외성을 쌓았다.
내성 안에는 정방형의 봉수대를 세웠다.

이 성은 중부지역을 가로지르는 차령산맥 중간 부분의 3개의 봉우리를 감싸고, 동서로 뻗은 계곡부를 막아서 쌓은 표곡식의 산성으로 내성과 외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성벽부분은 지대가 높지만 성 안쪽은 지대가 낮고 평지가 넓으며 물이 풍부하다. 산성 정상에서는 산성, 이천, 음성지역은 물론 용인, 진천까지 바라볼 수 있어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이다.
망이산성의 내성은 토성으로 백제에 의하여 쌓여졌으며 석성은 통일신라시대에 쌓은 것이다.
토성은 가장 높은 남쪽의 봉우리를 에워싸고 있으며, 현재 밝여진 길이는 250m쯤 되고 북쪽에 문 터도 짐작되는 곳이 있다. 석성은 능선과 봉우리의 지세를 이용하여 쌓았다. 전체 둘레는 약 2080m이며, 남북 340m, 동서 500m의 장방형 산성이다.
토성안의 높은 곳에는 봉수터가 있는데 생김새는 직사각형이고 자기와 기와조각이 흩어져 있다. 이봉수는 동래ㆍ충주 등을 거쳐 올라오는 직봉(直捧)과 남해ㆍ진주등에서 올라오는 간봉(間烽)을 서울 남산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성내에는 청동기 시대 후기부터 백제ㆍ통일신라ㆍ고려ㆍ조선시대에 걸치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어, 특히 기와중에는 `준풍(埈豊) 4년` 명(963년)기와가 출토되어 통일신라 말기와 고려시대 초기에 제작된 기와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소유자 :  산림청
-지정번호 : 기념물 제138호
-지정일 : '93.06.03
-규모/재료 : (길이) 동서 약 22m, 남북 약 12m
-시대 : 삼국시대
-코스 : 매산사입간판 → 매산사 → 삼거리봉 → 헬기장 → 정상 → 헬기장 → 삼거리봉 → 차현고개 → 매산사입간판(약 2시간 소요, 원점회귀 산행)

◆파사성(여주시)
주소 경기도 여주군 대신면 천서리 산 9외
전화 031-880-1966(문화관광과)

신록과 봄꽃 아름다운 산성을 걷자_3
파사성

해발 230m의 나지막한 야산인 파사산. 
파사산 정상에 올라서면 동서남북 모든 곳이 탁 트여 있고 굽이쳐 흐르는 남한강을 중심으로 군데군데 형성돼 있는 마을들과 그 마을들을 둘러싸고 있는 야산들의 환상적인 풍경에 탄성을 금할 수가 없다.

파사산 정상을 중심으로 능선을 따라 축성한 파사성은 성벽 등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으며, 둘레는 935.5m 정도이고 성벽 중 최고 높은 곳은 6.25m나 되나, 낮은 곳은 1.4m 되는 곳도 있다.
막국수와 돼지고기 수육으로 유명한 천서리를 면한 동문지(東門址), 금사면 이포리를 면한 남문지(南門址)에는 문앵을 세웠던 고주형초석 2기와 평주 초석이 남아 있고 동문지에는 옹성문지가 남아있다.
한강에 연하여 있어 성 일부는 강 언덕 돌출된 곳에 자리를 잡아 남한강의 상․하류를 한눈에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전략적 요충지다.

삼국시대 축성되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선조 25년(1592년)에 임진란이 일어났을 때 유성룡의 발의에 따라 승군총익인 의암이 승군을 동원하여 쌓은 둘레 1100보의 성첩을 중수한 기록이 있다.
성벽을 살펴보면 초창기의 성벽과 그 뒤 여러 차례에 걸쳐 수리한 흔적들이 혼재해 있음을 볼 수 있다. 성벽은 30~40cm정도의 장방형 석재를 가로로 겹겹이 쌓아 올리면서 틈에다 잔돌을 박아 고정시켰다.
이 성은 파사산 정상에 쌓은 포곡형의 석축산성으로 성의 아랫부분의 폭은 10m 내외이고 윗부분의 폭은 2~3m정도다.

-지정번호 사적 제251호
-지정일 1977년 07월 21일
-시대 삼국시대 
-주변 먹거리 
파사성 입구 쪽에는 유명한 천서리 막국수집들이 밀집돼 있다. 여기서 막국수와 돼지고기 수육을 먹거나 여주 신륵사 인근의 매운탕집도 들러볼 만 하다.

◆설봉산성(이천시)
주소 경기도 이천시 사음동 산24외
전화 031-644-2094(문화공보담당관실)


설봉산은 이천의 진산(鎭山)으로, 이 산의 7∼8부 능선, 속칭 칼바위를 중심으로 한 약 3만여 평에 달하는 고원지대가 바로 옛 산성터이다. 
계곡을 감싸안고 쌓은 포곡식(包谷式) 산성으로, 성벽은 대부분 흙으로 쌓았으나 돌로 쌓은 석축도 군데군데 있다. 
석축은 대부분 무너져 내렸거나 매몰되고 있는데, 아직도 정상 아래 부분에는 3∼10m의 석축의 흔적이 뚜렷한 형태로 남아 있는 곳도 있다. 
이 일대에서는 석축·석편·토기편은 물론, 건물터 임을 알리는 정면 9m, 측면 6.30m의 인공 주춧돌 9개가 정연히 배치되어 있어, 이 곳이 웅장한 규모의 삼국시대 산성터 임을 알려 준다. 
정상 밑 서쪽 능선 평평한 부분에는 주춧돌이 원형대로 남아 있어 장대지(將臺址)로 추정되며, 군기(軍旗)를 꽂았던 홈을 판 바위와 돌싸움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돌무더기도 3곳 남아 있다. 또 산성의 필수요건인 우물터 2곳, 수구와 인접한 북문의 흔적도 남아 있다. 

축성연대는 대략 고구려가 백제를 쳐서 한강 이남을 점유하고 이 곳에 처음으로 남천현(南川縣)을 설치한 고구려 장수왕 63년(475)에서 신라·백제세력이 이 곳을 다시 수복하던 신라 진흥왕 12년(551)사이에 고구려군이 쌓은 성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산의 정상에 서면 주변 지역이 한눈에 들어와, 삼국시대부터 치열한 세력 다툼이 있었던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대의 역할을 했던 성으로 여겨진다.

-지정번호 : 국가사적 제423호
-지정일 : 2000년 09월 16일
-시대 : 삼국시대(백제)
-재료 : 토축 및 석축
-크기 : 약3만평

◆남한산성(광주시)
주소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14
전화 031-760-2541

신록과 봄꽃 아름다운 산성을 걷자_4
남한산성

남한산성은 북한산성과 더불어 남북을 수호하는 산성으로 백제 온조왕 13년에 축성되었고, 신라영역이 된 후 문무왕 12년에 토성으로 축성하고, 주장성·일장성으로 불려졌다. 

이 곳은 삼국시대 이래로 우리 민족사의 중요한 요충지로서 삼국의 패권을 결정짓는 주요 거점이었다. 지금도 남한산성에 올라가서 북쪽을 보면 남한산성 아래로 초기 백제의 몽촌토성과 한강 건너 고구려의 아차산성, 그리고 그 뒤로 북한산성이 거의 남한산성과 일직선상으로 위치해 있음을 볼 수 있어 한눈에도 고대로부터 군사 전략상의 요충지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조선조 광해군 이후 이괄의 난을 치른 후 청나라 세력의 위협에 대비, 토성을 석성으로 개축, 인조4년에 준공하였다. 병자호란 당시에는 인조가 이곳에서 45일 동안 항전하다 항복한 역사의 연장이기도 하다. 
수어장대가 위치한 전상은 해발 460m이며, 성은 봉성과 외성으로 구성되었고, 성곽의 둘레만도 11.76㎞에 달하며, 산성 내 면적만도 80만여 평이다. 
유사시 임금이 이어할 수 있는 행궁을 비롯해 종묘, 사직, 관아, 재옥, 종각 등 없어진 것이 차례로 복원되고 있다. 산성축성 전부터 망월사, 옥정사 등 9개의 사찰이 있었으나 일제시 폭파되었다가 현재 망월사 등 4개의 사찰이 복원되었다. 
성곽이 국가사적 57호로 지정되었고, 수어장대를 비롯한 6점의 도지정문화재가 있다. 
그리고 남한산성은 불국토이기도 하지만 천주교 성지이기도 하다. 

- 개원사 : 인조 2년에 세워졌으며 전국에서 산성 축성과 방어를 위해 동원된 승려들은 물론 전국 승려들을 총괄하던 지휘소. 
- 현절사 : 병자호란 후 청나라에 인질로 끌려가 온갖 회유와 협박을 받고도 끝까지 충절을 지키다가 처형을 당한 삼학사 홍익한, 윤집, 오달제와 김상헌, 정온의 위패를 모신 곳. 
- 연무관 : 군사들이 무술을 연마하던 곳 
- 침괘정 : 백제 온조황의 왕궁터가 있던 곳으로 알려져 있는데 현 건물은 조선 영조시대에 중수했으며 무기제작의 사무를 관장했던 곳으로 추정된다. 
- 지정번호 : 사적 제57호
- 지정일 : 1963년 01월 21일 - 시대 : 삼국시대 
[축성시기]
- 본성 : 인조4년(1626)
- 외성 : 숙종
- 구성 : 본성,외성(봉암성,한봉성), 신남성
[규모 및 시설]
- 총연장 : 본성(9.05Km),옹성포함(11,755Km)
- 성곽의 높이 : 3-7.5m
- 시설 : 장대4(수어장대만 현존),접문4,옹성5,봉화대2,암문16
[등산코스]
- 성남시 → 남문 → 수어장대 → 서문- → 거여동(3.5km, 2시간 30분)
- 광지원 → 동문 → 장경사- → 벌봉(4km, 3시간)
[드라이브코스]
- 구의동 → 잠실대교 → 송파대로 → 3번국도 → 약진로 → 남한산성(40분)
- 반포 → 경부고속도로 → 양재인터체인지 → 세곡동 → 대왕교 → 약진로 → 남한산성(50분)
- 청량리 → 망우동 → 구리시 → 하일인터체인지(중부고속도로) → 경안인터체인지 → 광지원 → 남한산성(60분)
<사진 및 자료 출처/경기관광공사>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