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수원시 2013년 지역총생산 17조 목표
수원 경제발전 전략 보고회
2009-02-15 14:13:32최종 업데이트 : 2009-02-15 14:13:32 작성자 : 편집주간   김우영

수원시 2013년 지역총생산 17조 목표_1
수원시 2013년 지역총생산 17조 목표_1

수원시는 지난 13일 오전 10시 시청 상황실에서 수원경제발전전략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가졌다.

이날은 김용서 시장과 김명욱 수원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 간사를 비롯해 관련부서 과장, 팀장과 조현수 교수(평택대), 모성은 교수(지방행정연수원) 등 24명이 참석했다.

수원경제 발전전략 연구용역은 대내외적 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수원경제의 대처방안 강구와 정부의 자립형 지방화 구현에 따른 산업경쟁력 확보 및 광역도시의 위상에 맞는 수원 경제 발전전략 수립의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이날 보고회는 먼저 수원시의 지역여건을 분석하고 수원경제 발전 기본구상과 부문별 지역경제 발전전략을 제시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보고회에 따르면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수원시는 핵심산업 융복합도시, 지식기반서비스도시, 산업클러스터도시로 발전하고 2013년 지역내 총생산규모를 16조7582억원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는 2005년 13조 35억 4600만원에서 28.9% 증가한 수치다.

또 수원 신성장동력 산업을 에너지․환경, 수송시스템, New IT, 융합신산업, 바이오, 지식서비스 산업의 6대 분야로 나누고 22개 산업를 선정했는데, 이는 연료전지발전 시스템, 반도체, 디스플레이, 차세대 무선통신, LED 조명, 로봇, 신소재․나노융합, 소프트웨어, 디자인, 문화콘텐츠 산업 등 22개 산업이다.

부문별 지역경제 발전전략 보고에서는 신성장동력 부문, 기업 및 고용 부문, 국제통상부문, 유통 및 소비자 부문, 여타산업 부문별로 12개 지원전략을 제시했는데, 12개 지원전략은 신성장동력 지원전략, 중소기업지원전략, 벤처기업 유치 및 지원전략, 고용 및 노사관계 지원전략, 국제교류발전 전략, 국제통상업무 발전 전략, 외자유치 지원전략, 재래시장 등 유통무분 지원전략, 소비자보호부문 지원전략, 농림축산업 지원전략, 문화관광산업 지원전략, 균형발전 사업 지원전략이다.

한편 이날 보고회에서는 수원화성문화제, 수원 e스포츠 정보과학축제 등 수원시에서 개최하고 있는 대표행사의 수원경제 파급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시간도 가졌다. 수원문화제가 지역경제에 발생시킨 총 소득파급액은 339억9400만원이고, 수원 e스포츠 정보과학축제는 19억6800만원, 음식문화축제는 52억3600만원, 팔달문 시장거리축제는 129억 4900만원이다

김용서 시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인한 환율상승과 세계경제악화 등으로 수원지역 기업들도 어려움이 크다"며 "이번 연구용역에서 관내 기업과 경제단체에 정확한 경제지표를 제시하여 경제난 타파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분야별로 제시된 지원전략과 경제발전 기본구상은 시정에 최대한 반영해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