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러시아 자매도시 연계 통상촉진단으로 수출진흥
예산 절감, 국제 우호협력 강화 등 성과
2008-12-29 10:43:42최종 업데이트 : 2008-12-29 10:43:42 작성자 :   

수원시는 국제자매도시(러시아 니즈니 노브고로드)와 긴밀한 협력하에 관내 수출중소기업 5개사를 자원은 풍부하나 전자제품은 전량 수입하는 러시아지역(모스크바, 니즈니 노브고로드)에 파견한 결과, 940만불의 수출상담실적과 530만불의 수출계약추진 성과를 거둔 것으로 집계되었다.

수원시 통상촉진단은 지난 12월15일부터 18일까지 나흘간 모스크바와 러시아 제3의 도시 니즈니 노브고로드에서 현지 바이어들과 수출상담을 하였는데 이러한 통상 촉진단 활동의 배경에는 수원시 국제자매도시인 니즈니 노브고로드 정부의 긴밀한 지원과 체계적 노력이 숨어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 자매도시 연계 통상촉진단으로 수출진흥_1
수출상담
,
러시아 자매도시 연계 통상촉진단으로 수출진흥_4
현지 수입유통현장

금년 상반기인 6월11일 자매결연 체결 3주년 기념차 러시아를 방문한  수원시 공식대표단이 현지에서 협의한 대로 니즈니 노브고로드 공항에서부터 자매도시 정부 차량 뿐 만 아니라 정부 산하기관을 수출상담장으로 지원받아 기존 통상촉진단에 비해 예산 절감효과, 현지 시정부 주관으로 진행되어 신용도 높은 바이어들을 통한 수출 진흥효과, 자매도시정부와 통상 이외 학생 펜팔업무 협의도 하는 국제우호협력강화효과의 1석3조 효과를 거둔 수원시만의 차별화된 통상교류로 평가받게 되었다.

기존 CCTV의 사각지대를 개선한 360도 CCTV 카메라를 개발한 앰엔씨(수원 영통구 영통동 소재)는 자원부국이나 디지털제품 제조산업이 취약해 전자제품을 수입에 의존하는 러시아 핵심지역인 모스크바 및 경제도시 니즈니 노브고로드에서 쇄도하는 바이어들과 쉴 새 없이 수출상담 하였고, 특히, 동사는 모스크바 크레믈린, 11개 노선의 모스크바 지하철 보안 장치 설치 업체로 다른 국가 제품을 수입 중에 있는 P社의 별도 상담신청으로 받아 60만불의 수출상담을 추진 중에 있다.

승용차량 내부에 설치하는 내비게이션을 제조·수출하는 글로시스(수원 권선구 고색동 소재)는  러시아 수입차량 관련 바이어들인 SV社, RIKOR社, NPENC社 등과 수출상담도 하고 모스크바전자상가(메가, 테크노실바, 미디어엠, M디, OBS, 아샨) 등에 가서 경쟁제품과 가격정보 입수하여 실질적인 시장개척 활동을 하였다.

위너스(수원 영통구 영통동 소재)는 1년 내내 햇볕을 보기 힘들어 피부 미용 제품에 관심이 많은 러시아 여성들의 수요가 큰 모스크바와 니즈니 노브고로드 바이어들과 수출상담을 마친 후"수원시청이 국제자매도시 연계 수출상담회를 체계적으로 추진하여 일선 업체들이 자매도시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국제자매도시를 통한 통상촉진단이 더욱 활성화되기를 바랍니다."라며 국제자매도시 연계 통상촉진단에 대한 만족도를 피력하였다. 

이와 함께, 세계 최초로 디지털 액자 겸용 휴대용 사진 인화기를 개발한 프리닉스(수원 영통구 영통동 소재) 및 광통신 케이블 및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기를 수출 중인 오피트 통신社(수원 영통구 신동 소재)도 자원부국으로 급부상하는 러시아 모스크바 니즈니 노브고로드 수입상들과 다양한 수출상담을 하여 러시아 지역이 한국 디지털제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수원시 국제자매도시인 니즈니 노브고로드 측은 수출상담을 마친 후 파견업체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파견업체에게 자매도시가 러시아 교역관련정보 제공협조키로 약속하는 동시에 수원시 학생들에게 보낼 니즈니 노브고로드 학생들의 연말연시 펜팔 편지를 전달하는 등 적극적인 국제교류의지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수원시의 국제자매도시 연계 통상촉진단 활동에 대해 김용서 수원시장은 "우리 수원시는 미국발 금융위기로 침체된 내수 경기에 중소기업의 경기활성화는 해외 수출이 돌파구라는 기업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통상촉진단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수원시는 해외 국제자매도시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직접 NAFTA(멕시코-미국) 및 ASEAN(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지역 통상촉진단을 이미 구축하였습니다. 이번 러시아 통상촉진단은 이러한 국제자매도시 네트워크 연계 통상 촉진단 추진사업의 일환이며, 2009년도에는 EU(루마니아 권역) 통상 촉진단으로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라며 수출을 통한 경제난 타개책을 밝혔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