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이 남자가 할 수 없는 것이 있기는 할까?
단골들을 위해 직접 음식을 만드는 고성주씨
2014-04-01 17:54:05최종 업데이트 : 2014-04-01 17:54:05 작성자 : 시민기자   하주성
이 남자가 할 수 없는 것이 있기는 할까?_1
예전 전통방식으로 약과를 만들기 위해 모양을 만들었다
 
수원의 명물이 있다. 명물이라고 하니 무슨 상품이나 장소 등을 생각해선 안된다. 그 명물은 바로 사람이다. 수원시 팔달구 창룡문로 58번길에 거주하는 고성주씨(남, 60세). 
이 사람을 굳이 명물이라고 하는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남자이면서도 여자가 하는 일을 한 가지도 못하는 것이 없다. 오히려 여자들보다 더욱 여성다운 사람이기 때문이다.

4월 1일 오후. 고성주씨의 집안 마당이 시끌벅적하다. 무슨 일인가 해서 가보았더니 열심히 기름에 무엇인다를 튀기고 있다. 무엇이냐고 물었더니 약과란다. 집에서 약과를 만들고 있는데 우리가 흔히 보던 약과와는 다르다. 며칠 앞으로 다가온 큰 행사가 집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준비를 하고 있다고 한다.

모든 음식 직접 준비해

고성주씨는 신을 모시는 사람이다. 이들에게는 단골들의 안녕을 빌어주는 굿이 있다. 바로 '진적굿'이다. '맞이굿'이라고도 하는 이 진적굿은 신을 모시는 사람들이 하는 굿중에 가장 큰 굿이다. 보통 3년에 한차례씩 하지만, 고성주씨는 매년 봄, 가을로 이 굿을 한다. 그만큼 단골들에게 정성을 쏟아 붓는다.

이 남자가 할 수 없는 것이 있기는 할까?_2
기름에 튀기고 있는 고성주씨
 
이 약과도 그 맞이굿을 하는 날 상에 올릴 음식 중 하나이다. 아침부터 부산하게 준비를 하더니 기름을 튀겨내는 것으로 완성이 된다고 한다. 
고성주씨는 큰일을 앞에 놓고 늘 이렇게 며칠씩이나 준비를 한다. 이 약과도 아침부터 몇 사람이 준비를 한 것이다. 어떻게 만드는 것인지가 궁금해 하는 방법을 물었다.

갖은 재료로 만들어 진설해

밀가루와 멥쌀가루를 섞어 만드는 약과는 모양새도 특이하다. 파는 것은 동그랗지만 이 집의 약과는 길게 반죽을 자르고 그 가운데에 칼집을 낸다. 그리고 양편을 갈라 칼집이 난 곳으로 집어넣어 뒤집는다.

"처음에 내림을 받고나서 바로 이렇게 배웠어요. 한 10년간은 굿을 할 때 모든 굿거리 제차와 음식을 하는 방법 등을 배웠죠. 참 힘들게 배웠어요. 신을 모시는 사람이 신령께 음식을 올리면서 어떻게 사다가 할 수가 있어요. 하나같이 직접 준비를 해야죠. 그러다가 보니 며칠 전부터 준비를 시작해요."

이 남자가 할 수 없는 것이 있기는 할까?_3
튀겨낸 약과를 조청에 담가 놓는다
 
기름에 약과를 튀겨내면서 하는 말이다. 그 방법은 약과를 만든 밀가루와 멥쌀가루를 섞어놓고 계란노른자, 생강, 기름, 조청, 정종 등을 적합한 비율로 집어넣고 반죽을 한다고. 그리고 그것을 방망이로 밀어서 넓게 편 다음 길게 잘라 모양을 만든다는 것이다. 모양이 완성되면 기름에 튀겨낸다.

단골들이 다 챙겨간다는 약과

기름에 튀긴 것을 다시 조청에 담가 골고루 조청이 속에까지 배어날 수 있도록 놓아둔다. 마지막으로 통깨를 뿌려 식히면 완성 된다는 것. 준비하는 양이 워낙 많다보니 아침부터 하루 종일 매달려 있다.

"예전에는 색을 입히기도 했어요. 그런데 본 맛이 가시는 것 같아 올해는 색을 입히지 않았어요. 진적이 끝나고 나면 단골네들이 다 싸갖고 가세요. 그래서 많이 준비를 해야 돼요."라고 한다. 

함께 준비를 하고 있던 단골 한 사람은 "정말 엄청난 양을 준비해요. 진적굿을 할 때는 단골네들 말고도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거든요. 어림잡아도 수백 명이 이 날 오기 때문에, 그 많은 사람들이 먹을 음식까지도 일일이 다 준비를 하세요. 아마 보통 사람들 같으면 병이 날거예요. 그런데도 불구하고 일일이 손수 준비를 하는 것을 보면 정말 입이 다물어지지가 않아요."란다.

이 남자가 할 수 없는 것이 있기는 할까?_4
조청에서 건져 깨를 뿌리는 것으로 약과가 완성이 되었다
 
본인을 믿고 따르는 단골들이 잘 살고 평안하기를 바라는 진적굿. 춤 잘 추고 소리 잘하는 사람, 음식 잘하고 남을 돕는 일에 앞장서는 사람. 
고성주씨가 신령을 제대로 위해야 단골들이 복을 받을 것이 아니냐면서 음식준비를 하는 모습을 보면서, '도대체 이 사람이 못하는 것이 과연 있기는 할까?'라는 생각을 든다.

약과, 맞이굿, 진적굿, 단골, 음식마련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