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어린이 탈모 증상' 당신의 자녀는?
머리에 동전만한 탈모 증상 나타난 고교생 내 동생
2014-03-31 10:46:55최종 업데이트 : 2014-03-31 10:46:55 작성자 : 시민기자   이수진
집에 학생들이 있는 가정이 있다면, 즉시 아이들의 머릿속을 살펴 보길 바란다. 실제로 학생탈모를 그냥 모르고 지나치는 학부모들이 많다고 한다. 초기에 발견할수록 좋으며, 그저 우연히 발견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미 탈모의 상태가 꽤 진행이 되어 머리가 빠진 부분의 크기가 이미 커질 대로 커져 있을 것이다. 

더욱이 요즘에는 어린 나이에도 혼자 씻고, 머리모양도 개성 껏 아이 혼자서 하기 때문에 부모들이 아이의 탈모를 발견하기란 더욱 힘들 것으로 예상되는데, 맨 처음 동생의 탈모가 시작된 것이 초등학교 4학년 무렵이었다. 그 이후 간헐적으로 탈모증상은 있었다. 중학생때도 그리고 올해 고등학생이 들어간 시점에서 또 발생했다. 유전적으로 우리 집은 머리 숱이 엄청 많은 편이다. 

그래서 그 방대한 양을 주체하지 못해서 주기적으로 미용실에 가서 머리숱을 쳐 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한데, 어린 동생도 머리숱으로는 고민이 없던 아이였기 때문에 탈모로 고생을 할 줄은 상상조차 못했다. 
더군다나 스트레스 받을만한 일은 더욱 없었다. 학교에서 친구들과의 관계도 원만했고, 그렇다고 집에서 공부를 강요하는 부모님은 절대 아니었다. 
여태껏 성적이나 공부로 혼을 내신 적이 단 한 번도 없으셨던 부모님이셨기 때문에, 동생의 탈모 증세는 미스터리한 일이었다. 정수리 부위가 동전보다 살짝 더 큰 탈모진행으로 인해서, 한의원을 약 1-2 개월 정도 다니면, 약을 지어 먹었다. 

'어린이 탈모 증상' 당신의 자녀는?_1
'어린이 탈모 증상' 당신의 자녀는?_1

어린아이들에게 생기는 탈모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는데 그중에서 가장 1순위는 공부와 친구관계에서 생기는 무의식적인 스트레스나, 그 외 불규칙적인 생활리듬이나 영양부족에 이유가 있다고 하셨다. 그리고 내 동생처럼 딱히 확실한 이유가 없는데도 이렇게 부분탈모가 진행될 수도 있는 미원인성 탈모도 있다고 하는데, 다행히 꾸준한 치료로 정수리 탈모부위에는 다시 머리카락이 자랐다. 

그런데 이 어린이 탈모는 재발이 쉽다는 것이 흠이다. 5년이 지난 후에 또 다시 다른 부위에서 탈모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번에는 뒤통수 부위에서 탈모가 시작 되서 다시 한의원을 내원했다. 아무래도 고등학생이 되다보니 남모르게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압박감을 받은 모양이다. 

스트레스는 나이를 불문하고 만병의 근원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것은 아닌 듯 싶다. 더군다나 남자 아이도 아닌 여자 아이가 한창 예쁘게 꾸미며 다니고 싶어 하는 사춘기 시절에 탈모가 진행되고 있는지라 엄청 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다행히 탈모의 진행 부위가 정수리가 아닌 잘 보이지 않는 뒤통수라지만, 탈모부위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넓어지는 듯한 느낌을 받아서인지 요즘에는 온통 탈모부위에 신경이 가 있다. 

신기하게도 탈모부위를 관찰해보니 맨살이다. 약간의 솜털만 났을 뿐, 맨들 맨들한 부위가 동전만한 크기로 뻥 뚫려 있다. 이 어린이 탈모의 증상은 여러 가지 증상들의 전초증상과도 다름이 없는 것 같다. 
몸의 어딘가에 이상증상으로 인해 이것이 탈모로 나타나는 것은 빨리 그 원인을 찾아 해결을 해줘야 한다는 몸의 신호와도 같다. 특히 호르몬장애의 이유로 탈모증상이 나타나는 아이들도 간혹 있기 때문에 시급히 병원을 내원해봐야 한다. 

요즘에는 예전 보다 어린아이들의 탈모증상률이 상승한 추세이기도 하다. 빠른 환경 변화와 더불어 경쟁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이것저것 배우며 단련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솔직히 아직도 우리 집 식구들은 동생이 과연 무엇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건지 모르겠다. 

원인이 불분명하니 더욱 속이 탈 노릇이다. 그나마 5년 전의 탈모증상원인은 끝내 못 찾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공부압박이 드는건 확실한 것 같다. 5년이 지난 지금의 탈모원인에 대해 나름 추측을 해 보자면, 한동안 고등학교 입학에 대한 문제로 고민을 했었나보다. 

앞으로 동생의 탈모부위에 새싹이 자라듯 검은 머리카락이 자라나게 하기 위해서는 온가족들의 세심한 신경이 필요 한 것 같다. 영양섭취나 규칙적인 운동, 또는 스트레스 받지 않는 환경조성을 위한 노력을 해나갈 생각이다.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