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역대 근무지 숙직실의 추억
2014-02-15 15:10:29최종 업데이트 : 2014-02-15 15:10:29 작성자 : 시민기자   이영관
지금은 교사 당직이 없어졌지만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교사들이 당직을 맡았다. 남교사들은 숙직을 여교사들은 휴일 일직을 담당하였다. 숙직은 숙직실에서 일직은 교무실이나 행정실에서 하였다. 숙직실에 대한 추억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좋은 면보다 부정적인 면이 많았다.

1970년대 후반, 초임지. 6학급이라 남교사가 적다. 남자는 교장, 교감, 교무주임 등 모두 4명이다. 교장은 숙직에서 제외되고 세 명이 사흘 걸러 숙직에 임하였다. 당직자의 의무는 받아들였으나 그 다음 날 식사가 해결되지 못했다. 학교 시설도 열악해 세면도 제대로 못하고 그 다음날 수업에 임하였다. 숙면을 취하지 못하면 컨디션이 나빠 수업에 지장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 학교 숙직실. 본관 뒤 별도 기와건물이다. 겨울철에는 얼마나 웃풍이 센지 바람소리가 요란하였다. 바닥은 연탄불 온돌로 뜨근하였으나 웃목은 차가었다. 그 당시 학교 기사와 2인 1조가 되어 숙직을 하였는데 상대방의 코고는 소리로 잠을 이루지 못하였다.

역대 근무지 숙직실의 추억_1
우리 학교 숙직실 표찰

숙직이 가장 싫은 날은 토요일. 1시면 교직원 모두 퇴근인데 그 때부터 학교를 지키는 것이다. 왜 그리 오후 낮시간이 더디게 가는지. 빨리 집 가까운 학교로 가야겠다고 다짐한다. 좋은 선배도 만났다. 일요일 아침 선배 사모님이 차려주시는 아침상을 선배와 함께 받은 적도 몇 차례 된다.

숙직 시 보람도 있었다. 학부모나 주민이 상을 당하면 으례 학교를 찾았다. 부고장을 인쇄하려는 것. 숙직교사는 교무실에 가서 철판에 원지를 긁는다. 기사는 등사를 한다. 100-200장 정도 인쇄를 하는데 군말없이 지역사회 학교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초임지에서 멋진 교장도 만났다. 방학 때 숙직은 그야말로 고역이다. 한 1주일간 계속 이어지는데 집을 오갈 수 없다. 라면을 박스로 사고 계란을 판으로 사서 식사를 때우는데 나중엔 음식이 질리는 것이다. 밀가루 음식으로 식사 대용하기에는 역부족. 이 때 교장이 자청하여 몇 일간 숙직을 한다. 고맙기 그지 없는 것이다.

1980년대 초반, 고향인 수원으로 근무지를 옮겼다. 교무실 바로 옆에 있는 숙직실은 남교사들의 아지트로 활용되었다. 선배들의 교직 무용담을 듣는 곳도 이 곳이었다.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때론 화투나 음주를 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감사반에게 걸려 곤혹을 치루는 교사들도 있었다.

1년 6개월 짧은 기간이지만 모교에 근무도 하였다. 여름엔 무더위에 숙직실에서 자지 못하고 교무실 책상이 침상이 되기도 하였다. 기자는 화투를 할 줄 모른다. 어느 날 숙직 중 이상한 일이 발생하였나 보다. 동료 교사가 1만원씩 거두러 다닌다. 알고보니 집이 멀어 숙직실에서 기거하는 선배 한 분이 월급을 잃어버렸다는 것, 있어서는 안 될 일이 일어난 것이다. 그 선배에 대한 이미지가 지금도 좋지 않다.

남양주 모 중학교. 수원에서 통근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너무 힘들어 숙직실에서 취침하는 날이 많았다. 숙직은 아니지만 1주일에 두 세 차례 숙직실에서 기거 하였다. 다행히 이 곳은 식당이 가까이 있어 식사는 매식으로 해결하였다. 그러나 집에서 자는 것만 못하여 늘 몸이 개운치 못하였다.

오산의 모 여중. 여기서도 식사가 문제였다. 학교가 인가와 멀리 떨어져 있어 음식 배달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 석유곤로를 이용하여 취사를 해야 하는데 귀찮은 것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이 곳에서 5년간 근무하였으나 숙직에 관한 유쾌한 추억은 없다.

역대 근무지 숙직실의 추억_2
우리 학교 숙직실 외부 디자인. 숙직실이 중앙현관에 있어 리모델링을 한 것이다.

교사들을 불편하게 했던 교사 당직은 1990년대 초반 점차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학교에서는 경비엽체에 용역을 주어 외부 전담자가 일직과 숙직을 담당한 것. 교사들은 일숙직에서 벗어나 그 다음 날 학생교육에 전념할 수 있었다. 국가가 교사에 대한 최소한의 인간적 대접을 한 것으로 보인다.

1999년 장학사로 발령을 받으니 숙직이 다시 살아났다. 당직 때의 괴로움은 야간 근무자가 많아 자정 넘어 순찰하고 문단속하고 잠자리에 드는 경우가 많았다. 다행히 장학사는 수업을 하지 않아 행정사무에 능률은 오르지 않았으나 학생들에게 피해를 주는 일은 없었다.

지금 기자가 근무하는 학교, 숙직실 푯말은 붙어 있지만 외부벽이 미술작품이다. 냉난방기가 있어 추위와 더위를 막을 수 있다. 바로 옆에 세면장도 있다. 취사연료로 가스도 쓸 수 있다. 정기적으로 이부자리를 세탁하고 도배도 한다. 학교에서 신경을 쓰고 있지만 숙직전담 요원은 불편함이 있을 것이다. 오늘 숙직실을 보며 잠시 과거 추억에 젖었었다.
이영관님의 네임카드

이영관, 교사 당직, 숙직실, 추억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