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배운다는 것, 얼마나 위대한 일인가?
2014-02-23 12:27:24최종 업데이트 : 2014-02-23 12:27:24 작성자 : 시민기자   이영관
"배운다는 것, 얼마나 위대한 일인가? 배울 것이 없다고 자만해서는 안 된다. 이 세상은 끝없는 배움의 연속이다. 배움을 포기한 사람은 늙었다는 표시이다. 죽음을 바로 앞 둔 사람은 배울 필요가 없다. 그러나 성장하고 향상하는 사람은 배움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우리 학교 학사력 오른쪽 상단에 있는 문구다. e수원뉴스 '자발적 배움은 위대한 일인데'라는 기사의 일부분이다. 이것이 어떻게 학사력에 들어갔을까? 교장의 지시사항? 아니다. 담당교사가 알아서 자발적으로 넣은 것이다. 전임지 학사력 견본을 보더니 권학(勸學) 문구를 찾은 것이다. 전임지 학사력은 논어 문구다.

배운다는 것, 얼마나 위대한 일인가?_1
경기도교육청에서 열린 서울대 교육행정지도자 과정 수료자 추수지도

얼마 전 경기도교육청에서는 뜻 깊은 작은 연수가 있었다. 담당 장학관이 연수 자료도 두툼히 만들었는데 자료명이 '서울대 교육행정연수원 지도자 과정 수료자를 위한 추수지도 및 협의회 자료'다. 도대체 이게 무엇일까? 평범한 연수 자료다. 그러나 여기 모인 사람들, 자부심이 대단한 분들이다.

우리는 흔히 교직에서의 최고 연수로 교장 자격연수를 꼽는다. 학교 최고경영자가 되기 위한 필수 코스다. 여기를 수료하면 학교라는 기관의 장이 된다. 학교에서 최고 의사 결정권자다. 그러다 보니 자칫 자만에 빠질 수도 있다. 특히 어느 정도 교장 경력을 쌓고 퇴직을 앞두고 있으면 배움을 게을리 하기 쉽다. 이런 점을 교장은 경계해야 한다. 

교육행정 지도자 과정, 교장 경력 몇 년 쌓은 후 받는 과정이다. 연수 대상자가 제한되어 있어 희망자 모두 받을 수 없다. 도교육청의 추천이 있어야 한다. 경기도의 경우, 해마다 초등 교장 7명, 중등 교장 7명이 기수를 달리하여 받고 있다. 현재 이 과정 수료자가 경기교육에서는 110명이 현직에 있다. 

배운다는 것, 얼마나 위대한 일인가?_2
특강 강사가 사마천의 사기에 대해 강의를 하고 있다.

배운다는 것, 얼마나 위대한 일인가?_3
이 날 모인 수료자들의 연수 모습

기자의 경우, 이 과정 96기를 2009년 수료하였다. 기수별로 전국에서 추천된 교장들이 모인다. 연수기간이 약 3개월로 연수생 1인당 600만원의 연수비가 투입이 된다. 작년 중등 104기. 초등 105기가 배출되었다. 과거엔 이 과정이 교육장 6개월 코스라고 불리었었다. 교육장 발령을 앞두고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은 아니다. 이 연수 받았다고 교육장이 되는 것 아니다. 그러나 교육계에서는 자타가 공인하는 최고 과정이다.

이번 연수에 모인 분들 면면을 살펴본다. 교육장, 국장, 과장 등 교육청에 근무하는 분들이 보인다. 현직 교장들도 많이 보인다.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다고 자만하는 것이 아니라 한 수 배우러 모인 것이다. 오늘 연수의 주제, 사마천의 사기는 말만 들었지 깊게 알지 못한다.

오늘 배운 사자성어 몇 개! 그 유래에 대해 자세히 알고보니 그 동안 내가 얼마나 무지했던가를 깨닫는다. 그냥 피상적으로 아는 것을 제대로 알고 있다고 착각한 것이다. 한신이 직접 겪은 데서 유래한 과하지욕(跨下之辱), 표모반신(漂母飯信). 때론 큰 일을 위해서 하찮은 모욕을 참아 넘길 줄도 알며 은혜를 갚을 줄도 알아야 한다.

"배우기를 그친 사람은 스무 살이든 여든 살이든 늙은 것이다. 항시 배움의 끈을 놓지 않은 사람은 젊다. 삶에서 가장 위대한 일은 정신을 늘 젊게 유지하는 것이다." 헨리 포드의 말이다. 그렇다. 배우려는 사람은 젊은 정신의 소유자다. 마음이 젊으면 청춘이 유지된다. 그것이 젊게 사는 비결 아닐까?

도교육청 교육국장이 식사 자리에서 유머 하나를 던진다. "얼마나 공부를 못 했기에 추수지도를 받아?" 본인도 이 과정을 받지 못했기에 부러움이 담긴 말이다.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이런 추수지도 과정을 갖는 것이 전국에서 처음이다. 우리네 삶, 죽을 때까지 배움의 연속인 것이다. 배운다는 것은 위대한 일이다.
이영관님의 네임카드

이영관, 배움, 위대한 일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