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경기 혁신교육에 대한 제언
2013-05-01 00:57:12최종 업데이트 : 2013-05-01 00:57:12 작성자 : 시민기자   이영관
4월 30일 오후 4시, 경기도수원교육지원청 대회의실에서는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이 참석한 가운데 '혁신학교 시즌 2, 행복한 학교 만들기'를 주제로한 수원교육지원청의 2013 교육감 업무보고가 있었다. 이 자리에는 김국회 교육장, 국장, 과장, 장학사, 주무관을 비롯해 관내 초중고 교장 6명, 유치원 원장 1명, 초교 교감 1명,  초중고 교사 3명, 초중고 행정실장 3명, 학부모 3명이 참석하였다. 

시간 배정을 보니 개회 및 국민의례, 참석자 소개 10분, 교육장 업무보고 10분, 경기교육 발전에 대한 제언 20분, 교육감 말씀 20분, 폐회 및 기념 촬영 10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민기자는 혁신학교 교장, 혁신학교 연구회 회장으로서 이 자리에 참석하게 되었다.

경기 혁신교육에 대한 제언_1
경기도수원교육지원청 전경

사전에 업무 담당자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교육감에게 질문사항이나 건의사항이 있으면 준비하라는 것이다. 교육감이 현장의 소리를 경청하니 학교의 목소리를 가감없이 전달하라는 뜻으로 받아 들였다. 대화와 소통, 좋은 일이다. 때론 쓴소리에 귀를 기울일 때 그 조직은 건강한 조직이 된다. 쓴소리가 몸에 좋은 약이 되는 것이다.

직급을 대표한 참석자 6명이 자유스럽게 발언을 한다. 주로 혁신교육에 대한 이야기다. 혁신학교 클러스터 지원, 학교 협동조합 구성, 혁신학교 행정실장에 대한 인센티브, 수석교사에 대한 지원, 일반학교의 혁신에 대한 생각, 혁신학교에 대한 피로감과 스트레스 등. 교육감은 발언자의 내용을 경청하며 기록을 한다.

기자의 경우, 혁신학교 일반화에는 혁신철학 공유와 교직원의 자발적인 교육열정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함을 말하였다. 돈 들어가지 않고 할 수 있는 혁신이 되어야 하고 혁신학교가 보편적 교육을 부정하는 특혜학교라는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하였다. 혁신학교에 대한 비아냥 '돈 주고 급당 인원 수 줄여주면 누가 못해?'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

특히 혁신학교 일반화가 성공하려면 교사들의 자발성, 자율성, 헌신성, 사명감을 불러일으키는 도교육청 차원의 혁신 교육정책이 필요하다고 건의 하였다. 교사들의 마음 가짐에 따라 교육혁신의 성패가 달려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학교 교육 이대로 두어서는 안 되겠다는 교사들의 인식전환이 우선인 것이다.

김 교육감은 경기 혁신교육이 대한민국 교육의 큰 흐름을 만들고 있다면서 교육부 실무부서에서도 소통과 공감의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6명이 질문한 내용에 대하여 일일이 답한다. 도교육청 차원에서 받아 들이고 검토할 내용을 이야기 한다.

경기도에서 혁신학교를 직접 운영해 본 교장들은 혁신학교의 실체를 알고 있다. 혁신학교를 직접 접하지 않고 잘 모르고 있을 때는 긍정적 이미지보다 부정적 이미지가 많다. 서울의 혁신학교 폐혜사례의 언론보도를 본 사람이면 사울의 혁신학교가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금방 느낀다.

경기도의 경우도 혁신학교가 정치색을 띄면 실패한다. 어디까지나 교육본질에 입각해 교육과정과 수업혁신, 평가혁신에 촛점을 맞추어야 한다. 교사가 수업에서 보람을 느끼고 학생들은 배우는 기쁨을 체험해야 한다. 그래야 학교생활이 행복하다. 학생의 본분은 공부이고 교사의 생명을 수업이기 때문이다. 

경기도교육연수원 학교장 리더십 연수에서 강사가 기자에게 행복의 정의를 묻는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을 인용하여 답한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최대한 발휘한 상태가 행복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강조하고 있는 교육이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이다. 행복교육과 혁신교육, 교육의 자발성을 이끌어내면 성공한다.
이영관님의 네임카드

이영관, 혁신교육, 경기교육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