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사진전에서 만난 보은 삼년산성
수원화성의 축성술은 어디에서 왔을까
2023-03-29 14:43:18최종 업데이트 : 2023-03-29 14:43:16 작성자 : 시민기자   한정규
강화산성과 북한산성

강화산성과 북한산성


화성행궁 앞을 지나다가 '예술공간 아름(팔달구 정조로 834, 2층)' 전시관 앞에서 산성을 배경으로 제작한 포스터를 보고 '미완별곡2 산성유감'이란 이상곤 사진전을 관람하게 되었다. 산성에 이끌려 사진작품을 봤는데 작가의 시선으로 산성을 보게 되었다. 

전체 16곳의 산성을 작품에 담았는데 산성에서 바라본 시각과 산성의 스토리를 작품의 주제로 담아냈다. '강화산성'이란 작품은 성벽의 여장과 느티나무 뒤로 펼쳐진 바다가 보이는 구도인데 작가는 몽골 기병의 날카로운 창끝을 피해갔던 산성은 청나라 병사들의 침입에는 견딜 수 없었던가? 라고 말하고 있다. 이 한 장의 사진에서 국난을 극복하고자 했던 역사적 실체를 읽어낼 수 있을까?

예술공간 아름에서 열리는 '미완별곡2 산성유감' 사진전

예술공간 아름에서 열리는 '미완별곡2 산성유감' 사진전



필자는 지난해 강화도에 있는 정족산성과 강화산성 답사를 다녀왔다. 강화산성은 몽골 침입 당시 실권자인 최우가 1232년 개경의 수도를 강화도로 옮기고 축성한 것이다. 강화산성은 내성, 중성, 외성의 3중 방어 체계로 구축해 강화도를 방어의 요새로 만들고자 했지만 1259년 몽골과 강화하면서 모두 헐렸다. 

공주 공산성

공주 공산성



강화산성은 병자호란이 일어난 후인 1637년에 청나라에 의해 파괴되었다가 1677년 숙종 임금 때 다시 쌓으면서 성벽을 돌로 쌓았다. 강화산성은 몽골 침입이라는 국난을 극복하기 위해 천도한 시기에 축성해 국난 극복의 의지가 담긴 현장이며 조선 시대에도 병자호란, 병인양요, 신미양요 등 외세의 침략에 맞선 역사적인 현장이기도 하다. 현재 성벽은 1677년 쌓은 석성을 조선 후기까지 보수하며 수축한 것을 복원한 것이다.

오산 독산성

오산 독산성



'북한산성'이란 작품은 가파른 바위 위에 쌓은 성벽을 배경으로 구도를 잡았다. 빈 몸으로 오르기도 힘든 이런 암벽 위에 성을 쌓기 위해 큰 돌을 옮겼던 이름 없는 백성들의 노고를 누가 기억해주고 있을까? 우리나라의 수많은 산성은 산 위에 쌓았는데 그 돌을 날랐을 백성들을 기억하고자 하는 작가의 따뜻한 시선이 담겨있다.

'공산성'이란 작품은 만하루와 연지, 금강을 배경으로 구도를 잡았다. 금강에 모형 배가 줄지어 있는 것을 보니 문화제를 준비할 때 찍은 사진인 것 같다. 금강과 가파른 경사를 이룬 공산이 어우러진 천혜의 요새이다.

남원 교룡산성

남원 교룡산성



공산성은 삼국시대 성곽 중 축성 시기를 알 수 있는 몇 안 되는 산성이다. 공산성은 웅진 백제 시기(475년-538년)에 백제의 왕성으로 사용했던 백제의 대표적인 고대 성곽으로 알려져 있다. 공산성은 처음에는 웅진성으로 고려 시대에는 공주산성, 조선 시대에는 쌍수산성으로 불렸다. 처음 축성할 때는 토성으로 쌓았다가 선조 이후 석성으로 개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담양 금성산성

담양 금성산성


백제는 한성백제(기원전 18년-475년) 시기에 몽촌토성, 풍납토성이 있는 한강 유역에 자리 잡아 고대국가를 완성하고 전성기를 누렸다. 21대 개로왕까지 한강을 지배하며 고구려와 대치하다가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으로 전사하면서 웅진으로 천도한 것이다. 웅진이 바로 오늘날 공주이다.

'삼년산성'이란 작품은 거대한 성벽을 배경으로 구도를 잡았다. 충청북도 보은에 있는 삼년산성은 축조연대가 정확하게 알려진 성이다. 삼국사기에 신라 자비왕 13년인 470년에 처음으로 석성을 쌓고, 16년 뒤에 증축하였고, 742년에 완성했다고 기록했다.

여주 파사성

여주 파사성



삼년산성은 5세기 말 고구려가 남하할 때 쌓은 산성으로 전략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위치에 있다. 둘레는 1,680m, 높이는 13-20m, 폭은 8-10m에 이르는 거대한 석성이다. 성벽 대부분을 내외 협축으로 쌓았는데 납작한 자연석을 이용해 대단히 견고하게 쌓아 대표적인 신라 성곽이면서 성곽의 백미라 할 수 있다. 치성과 같은 기능을 하는 옹성이 있어 공격과 방어에 유리한 구조이며 출입문은 현문식으로 했고 성벽을 보강하기 위한 보축성벽이 있다.

보은 삼년산성

보은 삼년산성



삼년산성은 신라가 쌓은 것이지만 우리나라 석축산성의 전통은 고구려의 석축산성에서 기원한 것이다. 삼국이 서로 전쟁을 하면서 고구려의 우수한 성곽기술을 배워 신라만의 독특한 양식으로 변화 발전시킨 것으로 보인다.

산성유감 사진전에 있는 산성 중에서 필자가 답사한 곳은 6곳이다. 강화산성, 공산성, 독산성, 파사성, 삼년산성, 남한산성을 답사하면서 수원화성의 뿌리를 찾고자 노력했다. 우리나라 산성을 답사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수원화성의 뿌리가 고구려 산성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한정규님의 네임카드

수원화성, 삼년산성, 예술공간 아름, 산성유감, 한정듀

연관 뉴스


추천 3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독자의견전체 0

SNS 로그인 후,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icon 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