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텅비었지만 최고의 방어시설, 공심돈
2012-01-06 18:09:33최종 업데이트 : 2012-01-06 18:09:33 작성자 :   e수원뉴스

장용영 군사들이 훈련을 하던 연무대 근처에는 독특한 건축물이 있다. 공심돈(空心墩). 말 그대로 '속이 텅 비어 있는 돈대'다.

화성축성이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정조는 화성 성벽이 쌓일 10여 리가 넘는 길을 순행했다. 수많은 신하들을 거느리고 팔달산에서 시작된 행차가 화서문 터에 이르렀다. 

이때 주변을 둘러보던 정조가 입을 열었다.
"성곽의 최고 목적은 방어다. 과인이 보기에는 아직도 화성의 방어능력이 만족스럽지 않다. 공심돈(空心墩)을 설치하도록 하라."

공심돈?
신하들은 어리둥절한 얼굴로 서로를 바라보았다. 당시 조선에서는 아주 생소한 시설물이었기 때문이다. 
정조는 대단한 독서가였는데 특히 과학과 군사기술서적을 탐독했다. 그런 그가 중국에서 쓴 군사설비에 관한 책 '무비지(武備誌)'를 읽고 공심돈의 존재를 알게 된 것이다. 

공심돈은 성문과 가까운 곳에 건물을 올리되 그 속은 비워 놓고 계단을 설치해서 그 계단을 오르내리며 적을 공격할 수 있게 하는 시설물이다. 공심돈 꼭대기는 돈대로서 적들을 감시하고 아군에 신호를 보내는 공간으로 사용하게 했다.

화성에는 공심돈이 3개 있다. 북쪽을 제외한 동서남쪽 세 공심돈은 각기 다른 독특한 형태이다.
공심돈 기초부분은 돌로 쌓고 군사들을 보호하는 바깥 둘레면은 벽돌로 쌓았다. 그 안을 2층으로 나눠 사다리로 올라 다니게 했는데 이 안에서 대포와 총을 쏠 수 있도록 했다. 

텅비었지만 최고의 방어시설, 공심돈_1
동북공심돈

당시에는 네덜란드에서 들여온 불량기포와 정조 때 새로 개량한 백자총 등이 신무기를 쓰고 있었다. 큰 구멍에는 불량기포를, 작은 구멍에는 백자총을 설치해 적들이 어느 방향에서 총탄이 날아올지 몰라 겁먹게 했다. 

처음 만들어진 건 남공심돈인데 지금은 없어졌다. 서남공심돈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야 하는데 동북공심돈은 소라처럼 돈대 안을 빙글빙글 올라가도록 설치되었다.

이것은 요동 계평돈의 모습과 유사하다. 특히 동북공심돈은 2층에서 동시에 대포를 쏠 수 있어 대단한 위력을 자랑했다. 보통 건물들은 대포를 쏘면 무너질 염려가 있는데 동북공심돈은 과학적 계산과 튼튼한 축성법으로 문제가 없었다. 동북공심돈에 서면 연무대에서 군사훈련을 받고 있는 장용영 군사들부터 멀리 성안의 시장에서 가격을 흥정하는 상인들까지 보이지 않는 게 없을 정도였다. 

남공심돈은 시가지 정리로 사라지고, 동북공심돈은 한국전쟁 때 폭격 피해를 입었지만 서북공심돈만은 무탈하게 남아 있다. 

1797년 1월, 정조는 3정승 6판서를 비롯한 신료들을 거느리고 화성으로 행차했다. 이 행차에는 2년 전 화성 행궁에서 열린 혜경궁 홍씨 회갑연만큼이나 많은 신료들이 참석했다. 정조는 완성된 화성을 둘러보다 서북공심돈 앞에서 모든 신하들에게 큰소리로 하교했다.

"우리 동국(東國)역사상 최초로 지어진 건물이다. 마음껏 구경하라!"
무수한 변란 속에서도 서북공심돈이 원형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은 정조의 이 무한한 사랑 때문이 아닐까?

서북공심돈과 동북공심돈은 화성에서 가장 많이 사랑받고 있다. 전쟁의 아픔으로 상처 난 동북공심돈은 1975년 화성 복원사업으로 원형을 회복했다. 

서북공심돈은 전투시설물인데도 선비처럼 우아한 자태를 자랑하여 찬사를 받는다. 국내 유수의 건축 디자인이 이 공심돈을 본뜨고 수원시 심벌마크로 이 공심돈을 형상화했을 정도였다.

 
텅비었지만 최고의 방어시설, 공심돈_2
서북공심돈
,
텅비었지만 최고의 방어시설, 공심돈_3
서북공심돈 안쪽
,
텅비었지만 최고의 방어시설, 공심돈_4
텅비었지만 최고의 방어시설, 공심돈_4

화성은 돌로 만들어졌다. 그 돌은 수원의 산악에서 가져왔다. 오랜 세월 숨어 있다가 기적처럼 나타나 정조의 꿈을 이루어 준 수원의 돌. 그것은 정조가 평생 사모한 아버지 사도세자가 준 선물이기도 했고, 임금의 진심을 아는 백성들이 보여 준 신뢰의 상징이기도 했다. 돌은 땅의 뼈다. 수원 화성은 수원의 뼈로 만들었다. 

그리고 다시 수원을 지키는 진정한 뼈대가 되어 오늘날까지 전해 오고 있다. 수원 화성 코스를 걸으면 조선의 마지막 불꽃, 위대한 계몽군주 정조의 호흡이 느껴진다. 백성에 대한 사랑, 자주국가의 꿈을 향한 웅지로 힘차게 뛰었을 그의 심장 고동이 느껴진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