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작년 경기도 아동학대 4천338건…전년보다 46%↑
피해 아동 13세 이하가 67%, 학대자 84%는 친부모
2017-06-09 14:01:35최종 업데이트 : 2017-06-09 14:01:35 작성자 :   연합뉴스
작년 경기도 아동학대 4천338건…전년보다 46%↑_1

작년 경기도 아동학대 4천338건…전년보다 46%↑
피해 아동 13세 이하가 67%, 학대자 84%는 친부모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 지난해 경기도 내에서 발생한 아동학대가 4천여 건으로, 전년보다 4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경기도가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개최한 세미나에서 김미호 경기도 아동보호전문기관 관장이 발표한 도내 아동학대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경찰이나 아동보호전문기관 등에 신고된 아동학대 의심 신고는 5천949건이며, 이 중 72.9%인 4천338건이 학대로 판정됐다.

이는 4천217건의 학대 의심 신고 중 72.0%인 2천973건이 학대 판정을 받은 2015년에 비해 의심 신고 건수는 41.1%, 학대 판정 건수는 45.9%나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학대 판정 4천338건의 피해 아동을 연령별로 보면 0∼6세가 26.1%(1천133명), 7∼12세가 40.5%(1천758명), 13세 이상이 33.4%(1천447명)이었다.
학대 행위자는 친부모가 83.9%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나머지는 계부모 또는 양부모(5.0%), 친인척(3.8%), 보육교사·복지시설종사자·교원·유치원교사 등 기타(7.3%)였다.
학대 신고자는 부모가 18.9%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교직원(14.2%),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13.4%) 순이었다.
피해 아동의 74%는 원가정에서 보호하고, 19%는 시설 등에 분리 보호했으며, 6%는 일시 분리 보호 후 원가정에 복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별 신고 건수는 안산이 713건(12.0%)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원(327건), 성남(300건), 부천(291건), 용인(277건), 화성(239건)이 뒤를 이었다.
김 관장은 "2014년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제정된 이후 아동학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최근 전국적으로 이목을 집중시킨 아동학대 사건들이 이어지면서 시민들의 신고의식이 높아져 학대신고 건수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학대 예방 등 아동복지와 관련한 공공기관은 물론 민간단체들이 많이 늘어난 것도 학대신고 건수 증가의 한 원인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수원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이순희 도의원은 시군별 아동보호전문기관 설치 의무화를, 김형모 경기대 교수는 신고전화 112로 일원화 및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인력 확대·전문성 강화를 제안했다.
강득구 도 연정부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아동학대를 막아 아이들이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책임이자 과제"라며 "세미나에서 나온 제안들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아동학대 없는 사회를 만들자"고 말했다.
kw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