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경기도, 지진 조기경보시스템 시범 운영
도, 지진방재 종합대책 22개 과제 중 8개 완료
2017-06-09 17:51:33최종 업데이트 : 2017-06-09 17:51:33 작성자 :   연합뉴스
경기도, 지진 조기경보시스템 시범 운영_1

경기도, 지진 조기경보시스템 시범 운영
도, 지진방재 종합대책 22개 과제 중 8개 완료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 경기도가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건물이 흔들리기 전 미리 도민에게 알려주기 위한 '지진 조기경보시스템'을 시범적으로 구축해 운영에 들어갔다.



9일 도에 따르면 도는 최근 기상청과 도청, 도 재난안전본부 및 17개 소방서를 연결하는 지진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작업을 완료하고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
이 시스템은 기상청이 지진 발생을 감지하면 거의 동시에 도청 서버를 통해 각 소방서와 도 재난안전본부도 발생 사실을 통보받아 미리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는 이 시스템을 올해 안에 도내 나머지 17개 소방서로 확대하고, 내년에는 31개 시·군청과 도교육청 및 일부 학교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어 동보 장치 등 시스템 관련 장비 등을 갖춘 아파트 단지와 극장 등 민간 다중이용시설을 우선순위로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동보를 받은 시설이나 기관은 구내 방송 등을 통해 지진 발생 사실을 즉시 알리게 된다.
도는 지난해 9월 발표한 지진방재 종합대책 22개 과제 중 이 지진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포함, 지금까지 8개 과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완료한 과제는 교량 및 상·하수도시설과 대형 저수지의 내진 보강, 활성단층 정보 등 지진 위험 지도 제작, 민간 건축물 등의 내진 정보 제공 시스템 구축, 재난통제 지휘부 긴급 통신망 확보 등이다.
도는 이들 과제 외에 내진 보강이 필요한 공공건축물 692동에 대한 보강 공사를 2030년까지 모두 마무리하고, 올해 1곳 등 2020년까지 3곳에 광역방재활동 거점센터를 구축할 방침이다.
또 올해 9월까지 도민 재난안전 가이드북 200만 부를 제작해 배포하고, 안전지도 핵심 서비스를 11월부터 시작할 계획이다.
한편, 도는 한파와 건조, 황사, 폭염, 안개 등 각종 재난문자발송 권한을 국민안전처로부터 위임받아 이달 1일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르면 내년부터 전국 지자체가 이같은 문자발송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도는 지진을 포함해 태풍, 홍수, 해일, 강풍 등 긴급을 필요로하는 중대 재난에 대한 문자발송은 지금과 같이 기상청 또는 국민안전처가 한다고 덧붙였다.
kw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