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경기도 출연기관 18곳 중 10곳 지난해 '적자'
적자 규모 총 257억원…8곳은 95억원 '흑자'
2016-11-10 07:32:06최종 업데이트 : 2016-11-10 07:32:06 작성자 :   연합뉴스
경기도 출연기관 18곳 중 10곳 지난해 '적자'_1

경기도 출연기관 18곳 중 10곳 지난해 '적자'
적자 규모 총 257억원…8곳은 95억원 '흑자'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 지난해 경기도 산하 18개 출연기관 중 10곳이 적자 운영했으며, 총 적자액은 257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각 출연기관이 지방재정통합공개시스템에 게시한 지난해 경영공시 내용을 보면 경기연구원이 10억2천여만원, 경기신용보증재단이 160여억원,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가 17억4천여만원의 당기 순 적자를 기록했다.



경기도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38억5천여만원), 경기영어마을(-7억6천여만원), 경기족여성연구원(-2억3천여만원), 경기테크노파크(-6억3천여만원) 등도 적자를 나타냈다.
적자 운영 10개 기관의 총 적자 규모는 257억6천여만원이다.
반면, 경기문화재단은 22억4천여만원, 경기콘텐츠진흥원은 1억2천여만원, 경기대진테크노파크는 2억9천여만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8개 흑자 경영 기관이 총 순수익 규모는 95억1천여만원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이들 도 출연 기관의 지난해 경영실적은 전년도인 2014년보다 많이 호전된 것이다.
2014년도에는 18개 기관 중 14개 기관이 637억9천여만원을 적자를 기록했고, 4개 기관만이 총 13억1천여만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각 기관의 총 적자액이 전년도보다 59.6%(380억2천여만원) 감소한 것이다.
출연기관의 적자 운영은 결국 도를 비롯한 각 기관이 출연한 기본 재산을 잠식하거나 부채로 남는 것이어서, 공익성이라는 업무 특수성을 고려하더라도 경영실적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출연기관 회계담당 관계자는 "저신용자 보증 등 각 출연기관의 업무 특성상 수익보다는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며 "그렇더라도 경영적자 폭을 최대한 줄여야 하는 것은 맞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도 "도 출연기관들은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들이 아니어서 경영수익을 올리는 데 한계가 있는 것은 물론 수익을 많이 남기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며 "하지만 기본 재산 등의 잠식을 막기 위해서는 경영 상황을 개선할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부 기관은 지난해 자구노력 등으로 경영성과가 전년도보다 좋아졌다"며 "도는 앞으로 점진적으로 경영개선을 할 수 있도록 각 출연기관과 함께 노력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kw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