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상황인지·예측능력 저하' 고령운전자 잇단 교통사고
4년 새 사고 70% 증가…"운전 능력 등 관리 강화해야"
2016-11-08 06:01:06최종 업데이트 : 2016-11-08 06:01:06 작성자 :   연합뉴스
'상황인지·예측능력 저하' 고령운전자 잇단 교통사고
4년 새 사고 70% 증가…"운전 능력 등 관리 강화해야"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지난 6일 사망자 4명 등 40여명의 사상자를 낸 관광버스 사고의 한 원인으로 지목된 속칭 '끼어들기' 차량 운전자는 70대 남성으로 밝혀졌다. 지난달에도 창원에서 70대가 통근버스를 몰다가 사고를 내는 등 청·장년보다는 상황 인지 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고령 운전자들의 대형 교통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다수 사망자를 내는 등 사고 규모도 점점 대형화 추세를 보여 고령 운전자들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령 운전자들의 적성검사 기한을 단축하는 것 말고도 이들의 '운전 능력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8일 대전 대덕경찰서에 따르면 관광버스 사고와 관련, 주행 도중 관광버스 앞으로 갑자기 끼어들어 사고가 나게 한 NF쏘나타의 운전자는 70대인 윤모(76)씨로 드러났다.

윤씨는 지난 6일 오전 9시 32분께 대전 대덕구 상서동 경부고속도로 부산 방향 회덕 분기점에서 자신의 쏘나타 차량을 몰고 호남고속도로 지선 쪽으로 가려다 경부고속도로 방향 3차로로 무리하게 진입, 뒤따르던 산악회 관광버스가 옆으로 넘어지는 사고를 유발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 사고로 이모(75)씨 등 산악회원 4명이 숨지고, 22명이 크고 작게 다쳤다.
경찰은 관광버스 블랙박스와 인근 고속도로 폐쇄회로 TV를 분석, 윤씨 차량을 특정했다.
윤씨는 경찰 조사에서 "뒤따르던 관광버스가 사고 난 것은 알았지만, 내가 사고를 유발한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이어 "119에 신고 하려고 잠시 차량을 정차했지만, 사고 현장 주변에 다른 사람이 많이 있는 것 같아 그냥 갔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윤씨를 특정범죄가중처벌법(도주차량) 위반 혐의로 긴급체포했다.
지난달 21일 오전 7시 30분께는 전모(71)씨가 운전하는 통근버스가 창원시 마산합포구 상남동의 한 교차로에서 좌회전한 뒤 갑자기 중앙선을 넘어 신호 대기 중이던 차량 3대를 잇달아 들이받았다.

이 차량은 주변 상가 건물을 충격하고 멈춰 섰다. 이 사고로 전씨 등 통근버스 탑승자 14명을 포함해 모두 17명이 다쳤다.
전 씨는 "핸들이 잘 움직이지 않았다"고 진술했으나, 경찰은 전 씨 부주의로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10월 10일에는 서울 중구 소공동 한 호텔 주차장에 진입하던 모범택시가 주변 화단을 충돌한 데 이어 주차된 고급 승용차 4대를 연달아 들이받았다.
당시 75세이던 택시 기사는 "운전을 40년 했는데 이런 사고를 내겠냐"며 급발진을 주장했지만 경찰이 영상 증거를 내놓자 본인 과실을 인정했다.
같은 해 3월 19일에는 대전 동구 인동에서 강모(85)씨가 몰던 쏘나타 승용차가 인도를 넘어 한 상가로 돌진하는 등 고령 운전자 사고가 잇달고 있다.
이는 통계로도 확인할 수 있다.
경찰청과 도로교통공단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운전자' 교통사고는 2011년 1만3천596건, 2012년 1만5천190건, 2013년 1만7천590건, 2014년 2만275건을 기록했다. 지난해는 2만3천63건을 차지했다. 4년 전보다 70% 증가한 수치다.
이에 따라 운전·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고령 운전자에 대한 안전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받고 있다.
정부는 올해부터 65세 이상 버스 운전사는 3년 마다, 70세 이상은 매년 7가지 종류의 자격유지검사를 받도록 했다.
또 2018년부터는 75세 이상 운전자의 적성검사 주기를 5년에서 3년으로 줄이도록 하는 등 대책을 내놨다.
전문가들은 고령 운전자의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연령대별로 나눠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도로교통공단 김진형 교수는 "적성검사 주기를 줄이는 등의 대책만으로는 통제가 미흡하다"며 "적성검사만으로 인지·지각 능력 저하 여부를 가려내기 쉽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고령화 등 사회현상을 먼저 겪은 유럽 등은 고령 운전자에 대한 운전 시간을 조절해 줄이자는 분위기가 형성돼 있다"며 "고령자가 운전면허를 반납하거나 운전을 하지 않으면 대중교통 이용 비용을 보전해주는 등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본인들은 인정하고 싶지 않겠지만, 신체기능이나 상황 예측 능력이 갈수록 떨어지는 게 현실"이라며 "고령자 본인들이 자각할 수 있는 교육과 검사를 병행해 운전 능력을 더 까다롭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kjun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