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학교 안전사고 예방이 우선입니다
2013-11-20 10:50:19최종 업데이트 : 2013-11-20 10:50:19 작성자 : 시민기자   이영관
얼마 전 경기도학교안전공제회 회의에 참석한 적이 있다. 관련자료에 따르면 2013학년도 보상금 지급현황으로 유치원, 초중고 합하여 총 15,423건 74억9천여만원이다. 건수로 보면 초등학교 5,236건(34%), 중학교 4,733건, 고등학교 4,031건 순이며 금액으로는 고등학교가 29억5천만원(39%), 중학교 22억원, 초등학교 21억9천만원 순이다.

사고유형을 보니 사망 7명, 장해 16명, 상해 15,400명이다. 상해 내용을 구분하여 보니 관절염좌가 가장 많고 골절, 열상 순이다. 발생 시간대로는 체육시간이 5463건, 휴식시간 5404건, 과외시간 2181건 순이다.

각급 학교에서는 학교 안전 사고에 대비하여 공제료를 책정하여 놓고 있다. 학생 1인당 유치원 1,500원, 초등학교 2,000원, 중학교 3,500원, 고등학교 4,000원이다. 보험적 성격으로 경기도학교안전공제회에 납부하여 지원을 하고 있는 것이다.

학교 안전사고 예방이 우선입니다_1
귀가하기 전 농구 연습을 하고 있는 고등학생들. 학생 안전사고 예방교육이 필요하다.

그런데 사고가 해마다 늘어나 보상건수와 보상금 청구액수는 늘어나는데 비하여 공제료는 동결하고 있어 공제회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다. 2014년도의 경우, 경기도는 각급학교 공제료가 동결되어 교육부 고시액보다 적다. 중학교 교육부 고시액은 4,980원인데 경기도는 3,500원이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 하나! 공제회 기금확보도 중요하지만 학교에서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사고가 나서 치료비 받아 치료를 받아 몸이 원상 복구가 되었다 해도 그 동안 학생이 받은 손해는 돈으로 보상할 수 없다. 또 몸이 망가져 회북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대책은 없는가? 바로 학교 안전사고 예방! 안전사고 발생 통계를 분석하여 각 교과별 예방 방안을 수립하고 안전수칙을 정해 실천하는 것.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다양한 홍보활동도 필요하다. 공제회에서는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업무처리를 해야 함은 물론이다.

학교에서 할 일을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첫째가 사제동행. 교사가 학생과 함께 있을 때에는 안전사고 발생률이 낮아진다. 학생들이 행동에 조심을 하는 것이다. 학생이 있는 곳에 반드시 교사가 있다면, 이런 것이 교사들에게 철저하게 습관화 되었다면 사고를 확실히 줄일 수 있다.

둘째, 체육시간, 과학시간, 휴식시간, 교외학습 시 안전수칙 정하고 실천하기. 체육시간에 교사의 통제관리하에 학생들이 있어야 한다. 준비운동으로 스트레칭을 충분히 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교외학습에서는 이동수단별, 이동 장소별 안전사항을 사전에 지도하고 임장지도를 해야 한다.

셋째, 학교시설물의 사전 안전 점검. 사고보다 예방이 우선이다. 정기적인 검사로 위험 시설물을 사전에 조치하여 놓는 것이다. 위험표시물 표식도 한 가지 방법이다.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관리자가 할 일 중 중요한 것은 학교의 안전 확보다.

산업체의 경우, 공장입구에 '무사고 00일'을 게시하여 놓은 것을 본 적이 있다. 학교도 안전지대가 아니다. 학생들은 언제 어디서 무슨 돌발행동을 할 지 예측불허다. 안전사고 예방은 행복한 학교의 전제 조건이다. 학생 안전사고 예방 교육이 우선이다.
이영관님의 네임카드

이영관, 안전사고 예방,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