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우리 나라의 고유 소리, 아리랑의 힘
가수 겸 문화콘덴츠기획자 이안 씨의 강연을 듣다
2013-10-18 08:31:18최종 업데이트 : 2013-10-18 08:31:18 작성자 : 시민기자   공예지

지난 17일, 제40회 수원포럼이 오후 4시 30분부터 6시까지 수원시청에서 진행되었다.
이날 수원포럼은 '창조경제를 여는 문화력 - 문화 DNA, 아리랑의 힘' 이란 주제로 우리 민족의 얼이 담긴 아리랑의 전통성과 발전가능성을 살펴보는 동시에, 흥겨운 국악이 함께 어우러지는 강연 콘서트 형식으로 가수 겸 문화콘덴츠기획자인 이안 씨의 강연으로 진행됐다. 

이안 씨는 서울대 국악과 출신으로, 드라마 '대장금' 의 OST를 부른 가수로도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방송 MC, 기획자 등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달에는 수원 화성행궁에서 '아카펠라 슈바빙' , '생태교통수원 2013' 과 '제50회 수원화성문화제' 폐막연에서 초대 가수로 초청받은 적이 있다. 
이번 강의는 문화콘덴츠기획자로서 '창조경제를 여는 문화력 - 문화 DNA, 아리랑의 힘' 이라는 주제로 여러 사례를 들어 '아리랑' 의 우수성을 설명, 강조했다. 

초반에는 선비와 공자를 언급하며 '노래가 시대와 계층을 대변한다' 며 '음악' 에 대한 이야기와 싸이의 '강남스타일'  을 언급하며 싸이의 영향으로 외국인들이 실제 강남에 오고 싸이가 살았던 나라인 대한민국의 상품을 구매함으로서 '노래가 경제력이 된다' 며 사계절에 걸맞는 각 지역의 민요들을 언급하며 우리 나라의 특색인 '소리' 의 우수성을 강조했다.

봄은 '태평가' 로, 여름은 '한 오백년' , '밀양아리랑' , '신고산타령' , 가을은 '농부가' , 겨울은 '서도민요' 를 언급하며, 전체적으로 한의 문화와 흥의 문화를 언급하며, 외부 충격에 금방 극복하고, 스펀지처럼 받아들이고 표시를 빨리 하는 것이 우리 나라 사람의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나라의 고유 소리, 아리랑의 힘 _1
이안 씨의 흥소리 나는 강연
 
또, '12122 12122 2232 -3' 이라는 숫자를 언급하며 이 숫자가 '아리랑' 을 맛깔나게 부르기 위한 공식이라 설명했다. 이 공식은 쉽게 말해서  '아 가지고 다양한 소리 내기' 라고 말했다. 

이안 씨는 서양의 음악과도 비교하며 서양의 음악은 저작권이 분명하며, 작곡가 중심으로, 악보에 일정한 규칙이 있지만, 우리 나라의 고유 소리인 '아리랑' 은 반대로 '소리' (정확히 소리꾼)에 의해 구전으로 전해졌기 때문에 확실한 저작자도 없을 뿐더러, 여러 장단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정한 규칙이 없기 때문에 모두가 즐기는 것이라 강조했다.  

또, 국악과 대중 음악의 조화도 강조하며, 다른 가수의 노래를 언급하며 자신의 노래들도 이러한 조화들로 이루어졌다고 말했다.  '수궁가' 를 재편곡한 '난감하네' 노래 영상도 보여주며 조화의 좋은 예로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너, 왜 노래하니?' 라는 질문에 '노래' 의 위대함을 강조하며 "함께 해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라는 멘트로 강연을 마쳤다. 
 
우리 나라의 고유 소리, 아리랑의 힘 _2
12122 박자에 맞춰 시민들이 따라하고 있다
 
다소 무거울 수도 있는 주제였음에도 불구, 그녀의 능숙한 말솜씨, 유머와 노래 덕에 즐겁게 들을 수 있는 시간이었다. 
그러나 이 강연에서 이수영의 'I Believe' 와 장윤정의 '꽃' 도 확실히 국악과의 조화가 들어간 노래임에도 불구 언급이 안 됐다는 점이 살짝 마음에 걸렸다. 이 점만 제외하면, 다른 연륜있는 강사와 비교해도 손색없는 실력의 훌륭한 강연이었다. 지금도 내 귓가에 우리 선조의 혼이 담긴 '아리랑' 이 들려오는 듯 하다.

이안, 수원포럼, 수원시, 수원시청, 아리랑, 강남스타일, 시민기자공예지, 태평가, 한오백년, 밀양아리랑, 신고산타령,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