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장애인 및 노인복지를 위해서...
신혼여행을 연기하며 책임있는 업무처리
2013-05-25 12:18:54최종 업데이트 : 2013-05-25 12:18:54 작성자 : 시민기자   안명자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성장을 이룬 우리나라는 저개발국가의 모델이 될 정도로 많은 부분에서 발전이 있었다. 그러나 빠른 경제성장이 모두를 만족시킬수는 없는 일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 사회를 맞고 있다. UN이 규정한 노령인구 비율에 진입 속도가 7%가 넘으면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다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2008년에 이미 10%가 넘었다고 한다. 사람의 수명이 증가하는 것은 의학기술이 발달하였기 때문에 긍정적인 이야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낮은 출산율로 인해 젊은 사람이 줄어듦으로 고령 노인들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로인해 문제점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몇 해 전부터는 길거리에서 힘들게 폐품을 모아 돈을 버는 노인들을 많이 본다. 이것은 부양하는 가족이 줄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부양가족이 줄어들다 보니 예전에는 자녀에게 부양받으며, 손자, 손녀에게 정서적 지지자 역할을 했던 노인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일자리를 찾아 나서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 사회에서 노인이 일자리를 찾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의학기술은 발전하였지만, 신체의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부작용은 온전히 본인의 부담이기 때문에 가령 일자리를 찾더라도 자신의 생계를 책임질 정도로 일하기는 어렵다.

현재 노인들은 1950년 6.25전쟁 이후 폐허된 우리나라를 부강하게 만든 세대이다. 자신을 위해 일을 했다 하겠지만, 그분들이 없었다면 우리나라는 오늘날과 같은 발전은 없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 어려운 시기에도 그들은 자녀의 학업에 소홀하지 않았다. 아무리 힘들고, 어려워도 부모 봉양과 자녀의 학업에는 아끼지 않았던 분들이다. 그분들의 자녀가 바로 우리인 것이다. 우리는 지금 어떠한가? 연로하신 부모님을 봉양하고 있는 자녀가 얼마나 되는지 묻고 싶다. 이 풍족한 사회에서 적은 자녀에게 그들이 부족하지 않은 삶을 살도록 양육하면서도, 자신을 길러주신 부모님께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를...

그들이 아프고 있다. 나이가 듦으로 오는 몸의 통증, 각종 질환 등으로 어려워하고 있다. 현재 정부에서도 이분들을 위해 많은 복지혜택을 드리려 노력하고 있지만, 예산과 인력부족으로 모든 노인들에게 혜택이 간다고 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정부기관에는 많은 부서가 있다. 또한 조직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세분화 되어있어, 보이지 않는 곳까지 복지혜택을 드리려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장애인 및 노인복지를 위해서..._1
영통구 사회복지과 노인장애인팀 고영희 주무관

영통구 사회복지과 노인 장애인팀의 고영희 주무관은 지난 5월 18일, 가족과 직장동료의 많은 축복을 받으며 결혼식을 올렸다. 그러나 결혼식 후 신혼여행을 가지 못하고 현재 자신의 업무에 충실하고 있다. 그 이유는 매월 20일 이후에 각종 수당과 연금을 기다리고 있는 노인들이 계시기 때문이다, 노령으로 인해 몸에 장애를 가지고 계신분들, 한 달에 한번 지급되는 노령연금을 기다리고 계신 분들이 있어 마음편하게 신혼여행을 갈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를 위해 업무를 대행해줄 직원이 없는 것은 물론이고, 대행할 수 있는 업무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각종 장애인수당과 25일에 지급되는 노령연금을 모두 입금해드린 후에 마음편하게 신혼여행을 다녀올 계획이라고 한다.

영통구 관내에는 8,000여명의 기초노령연금을 받는 어르신과 1,200여분의 장애수당을 받는 차상위 및 기초수급자 가정이 있다.

광교지역 노인정의 증가, 장애인 주·정차 위반 차량으로 인한 과태료 부과 등으로 감정적인 민원전화에 조용한 날이 없는 영통구 사회복지과 노인 장애인 팀에는 결원으로 인해 신속 정확한 복지서비스제공에 차질을 빚고 있다. 담당직원이 하루속히 충원되어 노인 장애인의 행복한 서비스제공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위의 사례를 취재하면서 영통구 관내에 차상위계층과 기초수급자가정이 이렇게 많은지 처음 알았다. 정부에서 제공되는 복지 서비스를 모든 분들이 불편함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혜택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