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애교심, 애향심이 애국심 된다
서호중, 칠보산에서 학생 임원 수련회 가져
2010-07-18 23:49:02최종 업데이트 : 2010-07-18 23:49:02 작성자 : 시민기자   이영관

애교심, 애향심이 애국심 된다_1
필자가 학생 임원 수련회에 참가한 학생들에게 칠보산 등산 안내를 하고 있다.

방학식이 끝나고 우리 학교 학생회 임원들, 칠보산 자락 아래 맷돌화장실 앞에 모였다. 학생회 임원 수련회에 모인 것이다. 흔히들 학생 간부 수련회는 1박2일로 수련원을 찾아 그 곳에 프로그램을 맡기지만 우리 학교는 교장과 선생님들이 직접 지도한다.

비용도 적게 들고 우리가 지도 목표를 세우고 프로그램의 내용도 구성하니 교육적 성과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학생들과 처음부터 끝까지 행동을 같이하니 사제지간이 더 가까와진다. 필자의 평소 생각, 애교심과 애향심은 애국심으로 나아감을 프로그램을 통해 실천하는 것이다.

흔히들 우리는 아는 만큼 사랑하게 된다고 말한다. 학교도 마찬가지고 지역사회도 마찬가지다. 모교에 대해, 고향에 대해 알고 있는 만큼 애정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이번 프로그램에 모교와 칠보산에 관한 퀴즈가 나오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오후 3시30분. 등산 안내판앞에서 필자가 가이드로 나섰다.

"자, 여러분! 이 화장실 이름은 무엇이죠? 그리고 이 화장실 기둥은 모두 몇 개일까요? 왜 칠보산일까요? 과연 일곱개의 보물은? 칠보산 정상의 고도는 얼마일까요?" 

"맷돌 화장실, 기둥은 일곱 개, 일곱 개의 보물이 있어서요. 일곱 개의 보물은 산삼, 맷돌, 잣나무, 황계수닭, 범절, 장사, 금. 칠보산 높이는 238m"

어려운 문제가 아니다. 화장실을 보면서, 산행 안내판을 보면서 쉽게 대답할 수 있다. 다만, 이런 문제를 내고 물어보는 사람이 없었을 뿐이다. 우리 학교에서 버스로 15분 거리에 있는 칠보산,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달려올 수 있는 산이다.

애교심, 애향심이 애국심 된다_2
이번 프로그램에서 1인 다역으로 숲해설사 역할을 하고 있는 필자

애교심, 애향심이 애국심 된다_3
칠보산 정상에서의 기념 촬영

애교심, 애향심이 애국심 된다_4
저녁 식사 후 학교사랑 퀴즈 대회를 열었다.

용화사 입구에서는 나무에 대해 공부한다. 다행히 나무에 붙어있는 표찰이 눈에 띈다. 상수리나무, 때죽나무, 리기다소나무... 필자가 상수리나무와 때죽나무의 유래에 대해 설명을 하니 학생들은 고개를 끄덕인다. 리기다소나무는 솔잎을 뜯어 잎이 3개임을 실제 보여준다.

땀을 뻘뻘 흘리면서 전망대에 오르고 능선을 거쳐 정상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하산을 하였다. 오후 5시 30분. 채식 뷔페에서의 저녁 식사는 웰빙식을 체험하는 기회다. 
이어진 학교사랑 퀴즈대회. 학교와 선생님, 학생들에 대한 문제가 쏟아진다. 정답을 맞힌 학생은 환호성을 지르고 틀린 학생은 아쉬워 한다. 퀴즈 다득점자에게는 도서상품권이 수여되었다.

우리 학교의 학생회 임원 수련회, 학생 35명, 선생님 7명이 참가하여 이렇게 행사를 끝마쳤다. 체력 단련, 등산을 하면서 선후배와 선생님과의 대화, 나무이름 공부, 칠보산에 대하여 알기, 학교사랑 퀴즈 맞히기 등을 하면서 방학식 후 알찬 오후 시간을 보낸 것이다.

이영관님의 네임카드

서호중, 칠보산, 애교심, 애향심, 학생회 임원 수련회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