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수원 ‘통 큰 결단’ 비상활주로 이전 설계 착수
공군 '환경영향평가.실시설계 발주' 시에 통보
2011-11-09 14:04:39최종 업데이트 : 2011-11-09 14:04:39 작성자 : 편집주간   김우영

수원시 권선구 대황교동 국도 1호선 수원비상활주로 이전 사업이 설계에 착수하는 등 속도를 내고 있다.
공군은 이달 초 비상활주로 이전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와 실시 설계를 용역업체에 발주하고 이러한 사실을 수원시에 통보해 왔다.

공군은 설계와 환경영향평가를 내년 상반기 완료하고 하반기에는 공군 수원비행장 내 부지에 대체 활주로 공사를 착공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시는 이에 따라 경기도, 수원시, 화성시 등 비상활주로 이전 관련 기관 비용분담 합의에 의한 분담금 10억원을 공군에게 교부했다.

수원 '통 큰 결단' 비상활주로 이전 설계 착수_2
수원 '통 큰 결단' 비상활주로 이전 설계 착수_2


비상활주로 이전 사업은 경기도, 수원시, 화성시 등 3개 자치단체의 비용분담 협의과정에서 한때 분담비율 문제로 고착상태에 빠졌으나 수원시가 '통큰' 양보를 하며 타결됐다.

공군이 비상활주로를 수원비행장 영내로 이전한다는 협의가 진행될 당시 이전 공사비 200억원의 경기도, 수원시, 화성시 분담 비율은 5:3:2로 알려졌었다.

그러나 이전이 결정된 뒤 경기도가 30%, 화성시가 10% 분담을 주장하며 사업이 제자리걸음을 하자 수원시가 40% 부담을 결단함으로써 지난달 경기도, 수원시, 화성시의 분담비율이 4:4:2로 결정될 수 있었다.

수원 비상활주로는 수원시 권선구 대황교동에서 화성시 진안동에 이르는 국도1호선 2.7㎞ 구간으로 유사시 군용기의 이착륙에 사용하기 위해 지난 1983년 비상활주로로 지정됐다.
이 때문에 수원지역 3.97㎢, 화성지역 3.91㎢가 비행안전구역에 묶여 고도제한 등 건축규제로 재산권 행사에 불이익을 받아왔다.

경기개발연구원은 2013년 비상활주로 이전이 완료되면 비행안전구역이 해제되면서 소득창출 2조7천억원, 고용창출 5만1천명, 지방세수 증가 86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