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수원시 "지카바이러스, 정보공유 선제적 대응체계 마련"
2016-02-16 15:03:11최종 업데이트 : 2016-02-16 15:03:11 작성자 : 편집주간   김우영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카바이러스의 확산을 '국제 보건 비상사태'로 선포한 가운데 수원시도 관련 대책 마련에 나섰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16일 의약관련 단체 및 기관장 등 각계 전문가를 초청, 지카바이러스의 등 해외 유입 감염병 예방을 위한 대책회의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김영준 수원시의사회 회장, 이희영 경기도감염병관리본부 부본부장, 정해관 성균관대 의과대학 교수, 이병욱 동수원병원장, 유병욱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장, 김명 수원시간호사회장, 김혜경 장안구보건소장 등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염태영 시장은 "수원시가 선제적으로 대응해 메르스 확산을 방지했듯이, 지카바이러스와 관련해 팩트 수집과 수원시 현실에 맞는 방역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지역사회 참여와 정보공유로 선제적 대응체계를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관련 전문가대책회의가 상황변화에 따라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를 마련해야한다"며 "지카바이러스의 선제적 대응과 예방을 위해 수원시장과 핫라인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수원시 지카바이러스, 정보공유 선제적 대응체계 마련_1
수원시 지카바이러스, 정보공유 선제적 대응체계 마련_1

이희영 부본부장은 "지카바이러스는 흰줄숲모기나 감염자와의 성접촉, 수혈 등으로 전파되며, 감염자와 일상적인 접촉이나 호흡기로는 전염되지 않는다"며, "감염 증상에 대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매뉴얼을 일선 의료기관과 해외여행자 등에 보급하여야 한다"고 말했다.

정해광 교수는 "감염병을 일으킬 수 있는 모기의 종류와 생태에 맞는 방역체계를 갖춰야 한다"며 "모기 매개체 조사와 모기 예경보 체계 구축, 모기방제효과 평가체계 마련 등 지역내 모기감시체계를 마련해야한다"고 말했다. 
참석한 전문가들은 "지카바이러스보다 뎅기열 예방을 위해 흰줄숲모기 등 감염병을 국내에 유입시키는 매개체의 차단이 선행되어야 한다"며 "모기 방제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수원시는 앞으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모기매개 감염병 방재시스템을 구축하고 해외유입감시체계 강화, 정확한 정보와 소통을 통해 전문가 집단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지역 내 해외 여행객에 대한 예방활동도 강화할 예정이다.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