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연합이매진] 진천 종박물관
2017-11-13 08:01:00최종 업데이트 : 2017-11-13 08:01:00 작성자 :   연합뉴스
영혼 깨우는 한국의 종소리 체험 공간
(진천=연합뉴스) 이창호 기자 = 예부터 살기 좋은 고을이라 '생거진천'(生居鎭川)으로 불리던 충북 진천은 국내에서 가장 앞선 것으로 조사된 석장리 고대 철 생산 유적지와 고대 제철로가 발견된 곳이다.
진천군청이 2005년 석장리 인근의 역사테마공원 내에 개관한 진천 종(鐘)박물관은 종에 대해 이모저모를 살펴볼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종 전문박물관이다. 2층 규모의 건물 외관은 한국 종을 빼닮았다.
중앙에는 항아리를 엎어놓은 듯한 유리 구조물이 설치돼 있고, 그 오른쪽으로 종의 음파가 퍼져나가는 듯한 굴곡은 한국 종의 특징인 맥놀이를 형상화했다.
◇ 금속공예의 걸작품, 성덕대왕 신종
1층 전시실 입구에서는 한국 범종의 걸작인 성덕대왕 신종이 관람객을 맞는다. 현존 고대 범종 중 가장 큰 성덕대왕 신종(국립경주박물관, 국보 제29호)을 실물 크기로 재현해 놓았는데 비록 복제품이라고는 하지만 그 웅장함과 세밀함이 관람객을 압도한다.
성덕대왕 신종의 명문에 의하면 신라 제35대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제작한 것으로 제36대 혜공왕 7년(771)에 완성됐다. 20여 년에 걸쳐 주조된 성덕대왕 신종은 높이 3.75m, 지름 2.27m, 무게 18.9t에 달한다. 종소리는 규모에 걸맞게 엄청나게 크지만, 이슬처럼 청아하다. 종소리의 여운이 끊어질 듯 잦아들다 이어지면서 아이가 어미를 부르듯 '에밀레∼ 에밀레∼' 한다 해서 '에밀레종'이란 별칭을 얻었다. 신비로운 종소리뿐만 아니라 종의 표면에 새겨진 주악천인상은 예술미를 더한다.
홍병상 문화관광해설사는 "끓는 쇳물에 어린아이를 제물로 넣었다는 에밀레종 설화는 성분 분석이나 주조 과정을 보았을 때 거의 가능성이 없다"며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종 가운데서 가장 큰 종인 성덕대왕 신종은 맑고 청아한 소리와 긴 여운을 지닌 신종(神鍾)"이라고 말한다.
'종의 탄생'을 지나면 닿는 '한국의 범종' 코너에서는 사진과 각종 사료로 범종의 기원과 구조 등을 보여준다. 이어 '한국의 시대별 범종' 코너에는 통일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범종이 상세한 설명과 함께 줄지어 늘어서 있다. 이들 범종은 원광식 주철장(중요무형문화재 112호)이 기증한 작품들이다.
과거에 TV 광고 모델로 나와 "사람아! 혼을 담아야 천 년의 소리가 나오는 거야. 잔재주 부리면 끝이야"라고 외치던 원 주철장은 우리나라 범종 복원의 일인자다. 전시된 종은 원형을 복원 또는 복제한 것으로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맥이 끊긴 밀랍주물법으로 제작했다.
우리나라 범종은 삼국시대 불교의 전래 이후 제작된 것으로 알려졌는데 현재 남아 있는 것은 통일신라 8세기 이후에 만들어진 범종뿐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권 3 '원종흥법 염촉멸신'(原宗興法 厭觸滅身)에 "천가 6년(565년)에 범종을 사찰에 걸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6세기
[연합이매진] 진천 종박물관

[연합이매진] 진천 종박물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