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가을엔 한양도성]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재도전…"시민 힘으로"
2017-11-08 09:30:00최종 업데이트 : 2017-11-08 09:30:00 작성자 :   연합뉴스
5년 준비했지만 '불발'…등재 목표 2021년으로 재설정
"한양도성 가치 알리자" 시민모임 활기…무료로 도성 안내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내 나라 사람들이 제대로 향유하지 않고 잘 알지 못하고, 귀하게 생각하지 않으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번에 배웠다."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서울편2'에서)
세계에서 인구 천만이 사는 대도시 중 서울처럼 거대한 성곽이 남아 있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늘 가까이 있어서인지 600년 역사를 지닌 한양도성의 가치를 제대로 모르는 이들이 많다.
이는 한양도성이 올해를 목표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등재에 도전했다가 실패한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한양도성의 존재 가치가 부족했던 게 아니라 도성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때문에 낮은 점수를 받았다는 분석이다.
서울시는 한 차례 실패를 교훈 삼아 '2021년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목표로 다시 한 번 항해를 시작했다. 한양도성의 가치를 알리기 위한 시민 모임도 활기를 띄고 있다.
◇ 13번째 세계문화유산 꿈꿨지만…
한양도성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2012년이다. 그해 11월 한양도성은 세계문화유산 잠정 목록에 올랐다.
한양도성이 1396년 내사산(백악산·남산·낙산· 인왕산)의 능선을 따라 축성된 이래 꾸준히 유지·보수되며 자리를 지켰고, 자연과 어우러진 서울의 경관이 돼 왔다는 점에서 13번째 세계문화유산이 될 것이란 기대가 컸다.
우리나라에선 1995년 석굴암·불국사를 시작으로 2015년 백제역사유적지구까지 11건의 문화유산과 1건의 자연유산(제주도 화산섬과 용암동굴)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5년 넘게 준비해온 한양도성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실패로 돌아갔다는 비보가 지난 3월 전해졌다.
세계유산에 이름을 올리려면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의 평가를 통과해야 하는데, 이코모스는 사전심사에서 한양도성에 '등재 불가' 판정을 내렸다.
한양도성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다른 도시 성벽과 비교했을 때 필수 조건인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Outstanding Universal Value)'를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도성이 600년간 유지됐지만, 행정적으로 관리돼 오늘날까지 이어진 전통으로 볼 수 없다는 평가도 나왔다.
문화재 전문가 사이에선 이코모스의 심사 결과가 뜻밖이라는 반응이 나왔다.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각국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심사가 엄격해진 데다 중국의 견제가 영향을 줬을 것이라는 분석이 잇따랐다.
'등재 불가' 판정 이후 서울시는 바로 전략을 다시 짜기 시작했다.
우선, 국내 전문가 9명에게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입증하기 위한 자문을 받았다. 이후 세계문화유산으로 이미 등재된 다른 나라 성곽 29건과 한양도성을 비교 연구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지난
[가을엔 한양도성]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재도전…

[가을엔 한양도성]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재도전…"시민 힘으로"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