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가을엔 한양도성] 시간도 멈춘 성곽마을…도시재생으로 날갯짓
2017-11-07 09:30:00최종 업데이트 : 2017-11-07 09:30:00 작성자 :   연합뉴스
이화·창신·부암 등 9개 권역 22개 마을…"가을 감성에 딱"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서울 한양도성은 오랜 세월 성벽 아래 오밀조밀 모인 가옥을 중심으로 '성곽마을'을 품어왔다. 시간이 멈춘 듯 바람도 쉬어가는 이곳에서 가을 정취를 느껴보는 것은 어떨까.
9개 권역 22개 마을에서는 역사와 사람까지 불도저로 밀어버리는 전면적 재개발 대신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도시재생으로 부활의 '날갯짓'이 한창이다.
시 관계자는 "성곽마을 재생사업은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마을 계획이라는 점이 특징"이라며 "권역별로 마을 특성이 묻어나는 지역 자산을 활용해 마을 정체성 강화, 한양도성과 조화로운 경관 관리, 주거지로의 안정성·지속성 강화, 마을관리방안 수립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벽화마을을 넘어서…예술이 꽃피는 이화·충신
이화·충신권 성곽마을은 국내·외 관광객에게 '이화벽화마을'로 잘 알려진 곳이다.
청명한 가을 하늘을 향해 총총 올라가는 시멘트 계단, 그 좌우로 늘어선 아기자기한 벽화, 이국적인 소품 가게·카페는 '셀카봉'을 든 방문객을 손짓한다. 1970년대 느낌이 나는 옛 교복을 빌려입은 관광객은 더는 낯선 풍경이 아니다.
시는 이곳이 대학로와 가까워 예술·문화 인프라가 풍부한 점에 주목, 특색 있는 예술문화지대로 가꾸려는 복안을 갖고 있다.
이곳은 예로부터 '조선 5대 명승지'로 꼽힐 정도로 산새가 빼어나 많은 문인이 찾아와 풍류를 즐겼고, 석양루·조양루·이화정 등 왕족의 저택·정자가 많았다. 조선 시대 우유를 공급하던 '유우소'(乳牛所)가 있어 보양식 '타락죽'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이화·충신권 성곽마을은 대학로와 가까워서 2000년대 이후 문화·예술인이 많이 들어와 산다"며 "서울 최초 연립주택단지이자 주거사 박물관인 '이화동 국민주택단지'가 보존되는 등 예술과 문화가 숨 쉬는 동네"라고 소개했다.
이곳을 찾는다면 곳곳에 숨겨진 박물관도 꼭 들러보자.
부엌박물관 '배오개', 대장간 '지붕 위의 장닭', 마을주민의 삶을 담은 박물관 등 소박한 박물관은 이화·충신권에서만 만날 수 있는 숨겨진 보석 같은 장소다.
◇ 전국 도시재생 '선봉' 창신…봉제산업 메카 꿈꾼다
창신권 성곽마을은 1970년대 이래 우리나라 봉제산업을 선도한 곳이다. 청계천 일대 평화시장에 모여 있던 봉제공장이 하나둘 창신동으로 옮겨오면서 한때 크고 작은 봉제공장이 3천 개나 있었다고 한다.
이곳의 가장 큰 특징이자 경쟁력은 인근 동대문 의류 산업과 연계해 생산→유통→판매의 모든 과정이 한 지역에서 이뤄진다는 점이다. 동대문 상인이 기획과 디자인을 하면, 이후 창신동 작업장으로 넘어와 바로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최근 열악한 생산 여건, 인력난, 저렴한 중국산의 공습 등으로 이곳은 한동안 내리막길을 걸었지만, 2014년 5월 숭인 지역과 묶여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선정되면서 다시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주민을 몽땅 내보낸 채 부수고 뒤엎어 아파트를 세우는 기존 개발 방식이 아닌
[가을엔 한양도성] 시간도 멈춘 성곽마을…도시재생으로 날갯짓

[가을엔 한양도성] 시간도 멈춘 성곽마을…도시재생으로 날갯짓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