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전국 지자체 너도나도 '트램' 도입…득실 따져야
부산·대전·수원·성남 등 추진…법적 근거·사업성 확보가 관건
2017-01-12 06:33:34최종 업데이트 : 2017-01-12 06:33:34 작성자 :   연합뉴스
전국 지자체 너도나도 '트램' 도입…득실 따져야_1

전국 지자체 너도나도 '트램' 도입…득실 따져야
부산·대전·수원·성남 등 추진…법적 근거·사업성 확보가 관건

(전국종합=연합뉴스) 김상현 기자 = 부산을 비롯한 전국 주요 지방자치단체들이 신개념 교통수단으로 노면전차(트램) 도입에 나서고 있다.
트램은 지하철 등 도시철도에 비해 건설비와 운영비가 적게 들어 새로운 대중교통시스템의 패러다임으로 주목받는다.
하지만 도로 위를 달려야 하므로 시내버스와 직접적인 경쟁이 불가피하고, 속도와 노선 확장성에서 불리해 수요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단점도 있다.



부산시는 도시철도 3호선 대저역과 명지지구를 연결하는 강서선에 신개념 교통수단인 트램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부산 도시철도 강서선은 2023년까지 5천241억원을 들여 전체 21.3㎞ 구간에 24개의 정거장을 건설한다.
부산시는 오는 3월 정부의 도시철도망 승인 고시를 거쳐 5월께 강서선 노면전차 건설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노면전차 트램은 ㎞당 건설비가 250억원으로 도시철도 1천300억원의 5분의 1 수준이다"라며 "기존 시가지가 아닌 새로 조성되는 명지신도시 등에 기존 대중교통수단보다는 트램 같은 신개념 교통수단을 도입하면 효율이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시는 2014년 12월 도시철도 2호선을 트램으로 건설하기로 하고 현재 기본계획수립 용역을 벌이는 등 트램 도입에 가장 적극적이다.
지난해 7월에는 트램 노선까지 확정 발표했다.
대전시의 트램은 서대전역에서 정부청사, 유성온천을 거쳐 서대전역으로 돌아오는 순환선 형태다.
총 거리 37.4㎞에 34개 정류장이 들어선다.
대전시는 국비 등 6천649억원을 들여 2025년 트램을 개통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2025년까지 동탄신도시 등 모두 9개 노선에 91.45㎞의 도시철도 건설을 추진하면서 동탄도시철도 등 7개 노선에 트램을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동탄신도시 트램은 2015년 6월부터 사업변경 용역을 벌이고 있다.
전체 공사비 1조7천700억원은 경기도와 토지주택공사(LH)가 분담하는 것으로 계획됐다.
경기 성남시는 신분당선 판교역에서 판교테크노벨리 1.5㎞ 구간에 정거장 4개 규모의 트램 도입을 추진한다.
올해 중으로 기본·실시설계를 하고 18개월간 공사를 거쳐 2018년 하반기 개통할 예정이다.
서울 송파구는 2019년까지 입주를 마치는 위례신도시에도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트램을 건설한다.
북정역에서 마천역을 잇는 위례신도시 중심부 구간에 트램 노선을 신설하고, 주변으로는 주상복합건물을 짓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수원시 역시 2010년부터 도시철도 1호선에 친환경 노면전차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수원 트램 노선은 수원역에서 화성행궁, 수원화성 장안문, 수원야구장, 장안구청을 잇는 6㎞ 구간이다.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을 환경오염 문제로부터 보호하고 도심 교통난 해소에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밖에 경남 창원시와 제주, 충북 청주 등도 환경보호와 교통난 해소를 위해 노면전차인 트램 도입을 장기과제로 검토 중이다.



하지만 트램이 전국 주요 도시를 실제로 달리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소위 '트램 3법'으로 불리는 도시철도법, 철도안전법, 도로교통법이 개정되거나 특별법을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다. 아직은 도시에서 트램을 운행할 법적 근거가 없는 실정이다.
지난해 11월 도시철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철도안전법과 도로교통법은 상임위원회 논의 단계이다.
대전시와 수원시 등은 서울, 제주, 인천, 부산 등 트램을 도입하려는 전국 10여 개 지자체와 함께 '트램 3법' 개정에 힘을 모으고 있다.
사업성 확보도 관건이다.
트램은 지하철 등 도시철도보다는 건설비나 운영비가 적게 들지만, 직접적인 경쟁을 해야 할 시내버스에 비해서는 운영비가 많이 들 수밖에 없다.
노선도 필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시내버스와 비교해 한계가 있고 승객 수용량도 제한적이다.
트램은 또 도로를 최소 2개 차선가량 점유해야 하므로 도로여건도 트램 설치에 적합해야 한다.
주변으로 기존 교통수단의 통행량이 많으면 교통사고 위험도 크다.
수원시 트램의 경우 2013년 2월 한국개발연구원이 예비타당성 조사에 들어갔으나 사업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와 사업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다.
수원시는 기존 경전철에 기준을 맞춘 예비타당성 조사 방법에 문제가 있다며 민간투자사업으로 전환해 경제성 분석을 의뢰하기도 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타당성 조사 등 면밀한 검토를 해야 하겠지만, 신도시나 새로 개발되는 지역에는 기존 교통수단보다는 신개념 교통수단인 트램이 유리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교통량 검토와 수요조사 등으로 사업성을 최대한 검토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josep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