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전국 가금류 21% 사육 경기도, 살처분은 51%…왜?
현재까지 953만마리 살처분, "사육 대규모화 등 때문"
2016-12-21 10:36:25최종 업데이트 : 2016-12-21 10:36:25 작성자 :   연합뉴스
전국 가금류 21% 사육 경기도, 살처분은 51%…왜?_1

전국 가금류 21% 사육 경기도, 살처분은 51%…왜?
현재까지 953만마리 살처분, "사육 대규모화 등 때문"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 올해 H5N6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기 직전 경기도 내에서는 1천755농가가 닭과 오리 등 가금류 5천400여만 마리를 사육하고 있었다.
전국 사육 가금류의 21.8%를 차지하는 규모다.
하지만 AI로 매몰 살처분한 도내 가금류는 20일까지 전국 살처분 마릿수의 50.8%인 952만9천여 마리에 이른다.
전국 대비 살처분 비율이 사육 비율의 2배가 넘는 것이다. 왜일까?



경기도 AI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올 AI가 산란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는 상황에서 도내 산란계 비율이 높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도내에서 사육 중인 산란계는 전국의 36%를 차지한다. 전체 가금류 사육 비율 21.8%보다 14%포인트나 높다.
가금류 사육농장의 대규모화도 원인으로 꼽는다.
도내에는 10만 마리 이상 사육하는 대규모 가금류 농장이 41곳으로 파악됐다.
지난 18일 AI가 발생해 살처분 작업을 한 평택시 고덕면 한 농가의 사육 닭은 무려 62만여 마리에 달했다.
살처분 농가 중에는 52만 마리, 37만 마리를 사육하는 농가도 있다.
대한양계협회 경기지회 관계자는 "2009년 전국 산란계 농장은 1천920곳, 사육 마릿수는 6천500여만 마리였으나 최근에는 1천200여 농가, 8천여만 마리로 집계됐다"며 "이는 사육농가가 대규모화됐다는 의미이며, 특히 대규모화는 소비시장이 큰 경기도 내에서 상당수 이뤄졌다"고 말했다.
이같은 대규모 가금류 농장은 매일 많은 사람이 오가는 것은 물론 계란 수거와 사료 보급 등을 위해 차량이 수십 차례 오가는만큼 소규모 사육농가보다 방역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사육하는 닭과 오리가 많아 AI 발생 시 매몰 작업도 며칠씩 소요되기도 한다.
최근 논에 대규모 사육농장을 중심으로 가금류 사육장이 허용된 것도 AI 확산의 한 요인으로 보고 있다.
논 주변에는 어느 곳이나 하천이 있고, 하천에는 철새를 비롯해 많은 조류가 오가면서 AI를 전파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도 재난안전대책본부의 분석이다.
도 재난안전대책본부 관계자는 "방역하는 기관 입장에서는 농장의 대규모화가 달갑지만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그러나 정부나 지자체에서 이를 규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kw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