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글짓기와 글쓰기, 어떻게 다른가
2013-09-09 19:31:45최종 업데이트 : 2013-09-09 19:31:45 작성자 : 시민기자   윤재열

학생 인권의 날 관련하여 글짓기 대회를 한다는 공문이 왔다. 이 공문을 받은 부서에서 교내 대회를 개최하고 여기서 입상한 학생들을 도교육청 대회에 응모하도록 한다는 계획을 했다. 다른 대회도 마찬가지다. 대개 교내 대회를 열고 입상한 작품을 상급 기관에서 개최하는 대회에 응모한다. 

그런데 부서에서 고민이 생겼다. 글짓기 대회는 초등학생들이 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그래서 글짓기 대신에 글쓰기 대회라고 명명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둘의 뜻이 차이가 공론화되고 급기야 나에게 의견을 물어왔다. 

글짓기는 오랫동안 써 오던 말이다. 반면에 글쓰기는 최근에 쓰기 시작했다. 일반 사람들이 기억하듯이 우리 어릴 때는 글짓기라고 했다. 이전에 없던 글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정학한 표현이다. '짓기'에 보듯 글을 지어 낸다는 표현도 적절하다.

그런데 오히려 이것이 문제가 된다는 주장이 있다. 즉 글이란 억지로 지어 내서 쓰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서 우러나는 대로 자연스럽게 쓰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짓기'가 바르지 않다는 논리다. 대신 글쓰기가 타당하다고 주장한다. 

글짓기와 글쓰기, 어떻게 다른가_1
글짓기와 글쓰기, 어떻게 다른가_1

여기에는 맹점이 있다. 글짓기는 억지로 지어내는 것이라는 느낌이 있어 바르지 않다는 것은 동의하기 어렵다. 그러면 글쓰기는 억지로 지어내는 것이 아닐까. 글짓기나 글쓰기는 모두 불가피하게 억지로 지어내야 하는 속성이 있다. 아무리 유능한 작가도 글쓰기는 억지로 지어내는 고된 작업이다. 물론 그 내용은 억지로 지어내지 않는다 하더라도, 관념적인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자체는 억지로 하는 작업이다. 

글짓기라는 말을 쓰다가 고등학교에서는 작문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아예 작문이라는 교과목 시간이 있었다. 대학에서도 작문이라고도 했다. 그리고 글짓기보다 고급스러운 글쓰기가 작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지금 생각해 보아도 글짓기와 작문은 다른 것이 없다. 이는 우리말 일을 한자어 작업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을 뿐이다. 

창작과 글짓기도 구분해서 썼다. 우리는 관습적으로 문학과 비문학을 구분했다. 그리고 문학적인 글을 생산하는 것은 창작으로, 비문학적인 글을 생산하는 것을 글짓기로 불렀다. 과거에는 학교 현장에서는 창작을 배제하고 글짓기만 수용했다. 창작 능력은 천품과 자득에 의해서 형성된다고 믿었다. 다행히 최근 교육과정에서는 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며 창작하는 교육까지 하고 있다. 

결국 글짓기와 글쓰기, 그리고 작문과 창작이라는 용어는 나름대로 어휘 개념을 가지고 쓰인다. 그러나 글짓기와 글쓰기는 근본적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문자 언어를 통해서 표현하고 전달함으로써 상대방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일련의 의사소통 행위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특히 글짓기와 글쓰기는 특별히 구분하기도 어렵다. 억지로 지어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글짓기에 어휘적 결함이 있다는 말도 궁색하다. 

글짓기와 글쓰기 개념은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국어교육의 하위 영역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로 나눈다. 여기에 답이 있다. 읽기와 쓰기가 대응한다. 다시 말해 글 읽기와 글 쓰기가 대응한다. 그러면 글쓰기가 자연스럽다. 읽기와 쓰기는 서로 넘나든다. 읽어야 쓸 수 있다. 글쓰기는 언제나 새로운 글을 지향하는데, 새로운 글의 범주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글을 읽지 않을 수 없다. 이런 판단은 결국 작문, 창작, 글짓기를 글쓰기로 포괄할 수 있는 결론도 만들어낸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오덕 선생의 말을 인용하면 더욱 명쾌해진다. 선생은 글쓰기란 국민학생이나 쓰는 정도가 낮은 것으로 알고, 작문은 글쓰기보다 고급의 글이고. 문학은 최고 수준의 글이란 잘못된 인식이 보편화되어 있다고 했다. 그래서 글쓰기란 말이 문학이란 말보다 그 뜻이 훨씬 넓으므로 글쓰기로써 작문과 문학을 아우르자고 제안했다. 

글읽기는 세상에 대한 이해이다. 글을 통해 세상에 대한 간접적 경험을 하고 마침내 독자의 인식의 폭을 확장한다. 그리고 글쓰기는 여기에서 출발한다. 인식의 폭을 의미화하는 것이 글쓰기이다. 우리가 인식하는 세계에 대해 언어적 표현을 펼치는 것이다. 
글짓기에는 이러한 세계에 대한 이해가 약하다. 자아가 세상의 무엇을 인식하고 그 세계가 품고 있는 범주를 펼치는데, 그것을 글짓기라고 하는 것보다 글쓰기라고 하는 것이 더 객관화된 느낌이다. 아무튼 글읽기가 선행되면, 글쓰기는 자연스럽게 탄생한다. 그래서 글쓰기라고 하는 것이 시대적 추세이고 비교적 바람직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윤재열님의 네임카드

윤재열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