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보기
오랫만에 찾은 앙카라 학원, 감회가 새롭네요!
앙카라 학교공원 개장식에서 '형제회' 회원들을 만나다
2013-06-26 11:15:45최종 업데이트 : 2013-06-26 11:15:45 작성자 : 시민기자   김해자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은 그해 가을 낙동강 방어선까지 밀리면서 대한민국의 운명은 백척간두 위기에 있었다. 
그러던 중 국군과 UN군의 필사적인 저지와 함께 맥아더 UN군 사령관이 지휘하는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으로 전쟁은 끝난 듯한 양상이었다. 그러나 중공군의 개입으로 양측은 일진일퇴를 거듭하며 교착상태에 빠졌다. 53년 3월 휴전반대에 섰던 구소련의 지도자 스탈린의 죽음으로 7월 27일 정전협정이 전격적으로 맺어지며 휴전선은 군사분계선이 됐다.

올해는 정전(停戰) 60주년 되는 해 

6·25전쟁을 끝낸 정전체제가 60년 지속됐다. 공산국가였던 소련이 개혁개방과 함께 냉전체제가 종식됐지만 한반도는 여전히 냉전체제 상태다. 
북한의 전투력은 전쟁 발발 한 달 만에 한반도의 90%를 장악할 정도로 막강했지만 안보리의 한국군 지원에 따른 UN군 참전으로 결국 막대한 인명피해를 냈고 전국토가 폐허화 되면서 정전에 합의했다.

25일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341-4번지 앙카라학교 공원 기념비 앞에서 특별한 행사가 열렸다. UN 참전국으로 참여했던 터키군 중 1개 대대(300명)가 1952년 수원 주둔 당시 전쟁고아를 돌보기 위해 고아원을 설립하고, 1966년 잔류중대 철수 때까지 지원했던 인도적 활동을 기리는 '앙카라 학교 공원'을 조성하여 개장하는 식을 개최한 것이다. 

오랫만에 찾은 앙카라 학원, 감회가 새롭네요!_3
오랫만에 찾은 앙카라 학원, 감회가 새롭네요!_3

브라스밴드의 눈물

행사장엔 터키대사와 대사관 직원들 이외도 매우 특별한 사람들이 있었다. 바로 앙카라학원(고아원) 출신인 '형제회'다. 이들은 개장 테이프 커팅식에 앞서 대학생 음악 동아리팀과 함께 추억의 눈물과도 같은 '앙카라 브라스밴드'만의 선율을 선사하며 모습을 드러냈다.

"당시 이북에 살고 있었는데, 전쟁이 난 후 피난길에 올랐다가 고아가 되어 이곳(서둔동)에 남게 되었습니다. 인종, 나이, 국가라는 개념은 사실 고귀한 생명 앞에선 아무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전쟁 통에 알게 되었지요. 노래, 악기연주는 모두 이곳에서 배웠는데, 오늘 50여년 만에 다시 연주하게 되었네요. 소년에서 노인이 되어 색소폰을 불어보리라곤 생각도 못했는데..." -앙카라 형제회 회장

축하공연을 마친 후 인사말을 전하던 앙카라학원 회장은 당시의 기억이 떠오르는지 물기 섞인 목소리로 말을 이어갔다. 

앙카라 형제들의 나들이

"그래~ 그래~ 그게 나야! 쟤는 누구더라?"
"얘는 복준이고, 어머 얘는 추옥이다. 쟤는 옥분이 아니니?"
"30년 만에 동생과 함께 이곳을 찾은 이후 오늘이 두 번째랍니다. 바로 저기에 라일락 나무가 있었는데, 오늘 보니 부러져있네요."

10여명의 고아원 출신 앙카라학원 형제회 회원들은 60여 년 전 옛 사진들을 돌려보면서 당시를 회상하며 서로가 서로를 찾았다. 흑백사진인데다가 단체로 찍은 사진이라 시민기자의 눈엔 모두가 엇비슷해 누가 누군지 분간이 어려운데 그들은 대번 알아챘다. 세월은 흘렀어도 기억은 가슴속에 또렷이 남아 있음이었다. 

오랫만에 찾은 앙카라 학원, 감회가 새롭네요!_4
앙카라 브라스밴드 연주 장면(왼쪽)과 옛사진을 돌려보고 있는 형제회 회원들

"저곳이 강당이었는데.... 현재 공원으로 묶여있어서 개발되지 않았다고 그러는데, 우리가 인수해서 당시의 역사를 기억하는 전시관으로 조성했으면 해요. 오늘 시장님 오셨는데 우리가 만나봐야 할 것 같습니다."

형제회 한분과 이야기를 나누다 성함을 여쭤보니 한사코 마다했다. 이유는 하나다. 자녀들 잘 키워서 사회에 독립시키기까지 '고아'라는 사회적 인식이 곱지 않아 본인의 진솔한 모습을 내비칠 수 없었다고. 항상 뒤로 숨기며 살수밖에 없었던 그간의 사정이 있으니 이름은 적지 말아달라며 사양했다.

기억하라, 터키와의 수교 56년

"오늘은 전쟁 발발 63주년이 되는 날이다. 어렵고 못살던 나라 대한민국이 한국전쟁으로 존망의 위기에 있을 때 유엔 참전국이 도움으로써 오늘날 다시 일어설 수 있었다. 당시 터키군은 1만5천명의 참전 중 1천명이 전사하고 400여명의 실종자를 낼 정도로 그들은 젊음과 목숨을 이 땅에 던졌다. 오늘날 잘 살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해준데 대해 깊은 감사를 드린다. 더불어 이곳에서 640여명이라는 전쟁고아들의 양육과 교육을 통해 숭고한 인류애를 보여준 터키인들에게 감사의 뜻으로 '앙카라 길'을 명명하고 '앙카라학교 공원'을 조성했다."

축사에 나선 염태영 수원시장은 행사에 참석한 나지사르쉬바 주한터키대사와 무관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면서 양국의 우호증진에 기여하고자 기념비와 함께 공원으로 조성했다고 밝혔다. 이런 뜻이 내포된 만큼 지역민들은 문화공간으로 조성된 이곳을 잘 가꾸어나가기 바라며 늘 자랑스럽게 생각해 달라고도 했다.

현재 터키는 6·25전쟁을 도운 혈맹국으로서 끈끈한 정을 이어가고 있지만 역사적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인연이 더 깊다. 
역사학자 이덕일씨는 '수나라가 중원을 통일하자 고구려와 투르크는 동맹관계를 맺어 공동대응을 했다. 영양왕 18년을 기점으로 삼을 경우 1400년이 되는 셈이다. 터키 국사교과서는 고구려를 투르크의 형제국으로 설명하고 있다.(램덤하우스 역사사랑 336~337p)'라고 했다. 21세기 현재 6·25전쟁을 도운 혈맹의 나라라고 칭하고 있으니 두 나라의 친교는 깊고도 깊은 셈이다. 

'앙카라학교 공원' 더 의미가 깊은 까닭

오랫만에 찾은 앙카라 학원, 감회가 새롭네요!_2
형제회 회원들과 함께 한 염태영 수원시장, 터키 대사관 관계자들. 오른쪽 뒷편 연립주택단지가 당시 앙카라 학원이 있던 자리다.

염 시장은 축사 말미에 "앙카라공원과 함께 양국의 우호를 상징하는 벽화길 앙카라 길에서 매년 작은 음악회라도 열어 지역민들과 함께 양국혈맹관계를 돈독히 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한 만큼 매년 이곳에서 '앙카라 형제회' 회원들과 축제의 장을 펼쳤으면 한다. 

이날 개장식은 터키 국영방송국과 KBS 특별다큐 '앙카라학원의 추억(가제)'팀이 개장식부터 폐식까지 전부 촬영했다. 

오랫만에 찾은 앙카라 학원, 감회가 새롭네요!_1
나지사르쉬바 주한터키대사와 터키국영방송 취재팀

서둔동에 살고 있다는 한 주민은 행사가 시작되자 내내 눈물을 훔쳤다. 자신도 6·25전쟁 고아라고 밝힌 그분의 얼굴에선 전쟁의 상흔이 오롯이 배어나왔다. 
이 모든 것들이 카메라 앵글로 잡혔을 것이다. 앙카라학교 공원에서 지난 역사의 씨줄과 형제회 날줄의 인연을 보면서 한국전쟁을 다시금 생각했다.

연관 뉴스


추천 0
프린트버튼
공유하기 iconiconiconiconiconicon

 

페이지 맨 위로 이동